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7

말과 생각

조회 수 616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과 생각

언어예절

마음과 느낌과 생각은 말 앞의 단계다. 사상·표현의 자유는 이를 겉으로 드러내고 펴는 자유를 일컫는다. 말과 글은 물론, 그림·음악·연극 등 드러내는 갈래와 틀은 갖가지다.

생각은 어떤가? 이는 드러나기 이전 단계여서 실체를 알 수 없으므로 자유니 부자유니로 얘기할 성질은 아니겠다. 그 영역 또한 드러낸 것 이상이다. 생각은 자주 바뀌고 먹기도 놓기도 잘하며, 삿됨과 욕심에 휘둘리기도 쉽다.

마음공부란 이 생각 동네를 규제하는 일이다. 그 주체는 생각 스스로일 수도 있고, 책과 경험, 관습·믿음들로 억누르고 갈피를 잡는다. 수련한다거나 갈고닦는다고 한다. 그 공부가 말과 몸짓으로 드러난 한 모습이 인사요 예절이다. 이는 사회나 공동체가 오랜 세월에 걸쳐 다듬고 익혀야 드러나는, 사람이 만든 자연스러움이다. 정치도 경제도 학문도 그런 바탕에서 벗어나면 탈이 생긴다.

“맘에 있는 말이라고 다할까 보냐!” “지나침은 모자람만 같지 못하다.” 답답하거나 나무랄 때 흔히 들추는 말이다.

정권이 바뀌면서 무섭고 끔찍한 말들이 자주 들린다. 예컨대 ‘영어 몰입교육’이니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니 하는 말들은 넘쳐도 한참 넘친다. 국민이 자기 말글만으로도 불편 없이 잘살도록 힘쓰는 게 위정자가 먼저 할 노릇이다. 이미 온갖 말로 겨레의 자존심을 깊이 헤집었는데, 그 상처를 무엇으로 아물리겠는가.

아이 밴 어미나 아비는 삿된 생각이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한다. 하물며 그 영향이 만인에게 미치는 나랏일을 하는 사람이야 두말해 무엇하랴.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32
1258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80
1257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80
1256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83
1255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87
1254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88
1253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99
1252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0
1251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1250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02
1249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03
1248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03
1247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5
1246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05
1245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12
1244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15
1243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22
1242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31
1241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32
1240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33
1239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34
1238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36
1237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