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5

손돌과 착량

조회 수 907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돌과 착량

땅이름

‘솔다’는 ‘너르다’와 반대로 공간이 좁을 때 쓴다. ‘저고리 품이 솔다’, ‘솔아 빠진 방’이라는 표현이 있다. 관련을 맺는 말들도 적잖은데, 말의 형태가 심하게 바뀌어 ‘솔다’에서 온 말인지 알기 어려울 때가 많다. ‘솔다’에 ‘곶’[串]이 합친 ‘송곳’이나, ‘솔다’에 ‘나무’가 합친 ‘소나무’가 있다. ‘송곳’의 옛말 형태가 ‘솔옷’이었음은 <훈몽자회>에서도 확인되는데, ‘솔옷 쵸[錐]’라고 풀이하였고, 어휘 사전인 <유합>에서는 ‘송곳 츄[錐]’라고 했다.

‘소나무’도 ‘솔다’에서 비롯된 말임은 낱말 짜임새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대체로 토박이말은 토박이말끼리, 한자어는 한자어끼리 어울린다. 이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는 한자어 ‘송’(松)에서 비롯된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솔’과 ‘송’의 발음이 유사하고 뜻이 같아 두 말이 뒤섞여 쓰인다. 그래서 ‘솔고개’, ‘솔내’를 ‘송현’(松峴), ‘송천’(松川)으로 고쳐 부르고, ‘솔골’은 ‘송곡’(松谷)으로 부른다.

순조 때 김매순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열양세시기>에는 “강화 바다 가운데 험한 암초가 있으니 ‘손석항’이라 부르는데, 손석항이라는 초공이 원통하게 빠져 죽은 곳으로, 그가 죽은 날이면 바람이 차고 전율을 일으켜, 뱃사람들이 경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른바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다. 그런데 사실 ‘손돌’은 ‘솔다’와 ‘돌다’가 합쳐진 말로, ‘좁은 목’을 뜻하는 ‘착량’(窄梁)을 ‘손돌’이라고 표기한 보기를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74
1896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895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03
1894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098
1893 바람의종 2007.09.22 9097
1892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4
1891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94
1890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092
1889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91
1888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090
1887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089
1886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088
1885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085
1884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79
»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78
1882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75
1881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71
1880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070
1879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65
1878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64
1877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1876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8
1875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