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5

손돌과 착량

조회 수 915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돌과 착량

땅이름

‘솔다’는 ‘너르다’와 반대로 공간이 좁을 때 쓴다. ‘저고리 품이 솔다’, ‘솔아 빠진 방’이라는 표현이 있다. 관련을 맺는 말들도 적잖은데, 말의 형태가 심하게 바뀌어 ‘솔다’에서 온 말인지 알기 어려울 때가 많다. ‘솔다’에 ‘곶’[串]이 합친 ‘송곳’이나, ‘솔다’에 ‘나무’가 합친 ‘소나무’가 있다. ‘송곳’의 옛말 형태가 ‘솔옷’이었음은 <훈몽자회>에서도 확인되는데, ‘솔옷 쵸[錐]’라고 풀이하였고, 어휘 사전인 <유합>에서는 ‘송곳 츄[錐]’라고 했다.

‘소나무’도 ‘솔다’에서 비롯된 말임은 낱말 짜임새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대체로 토박이말은 토박이말끼리, 한자어는 한자어끼리 어울린다. 이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는 한자어 ‘송’(松)에서 비롯된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솔’과 ‘송’의 발음이 유사하고 뜻이 같아 두 말이 뒤섞여 쓰인다. 그래서 ‘솔고개’, ‘솔내’를 ‘송현’(松峴), ‘송천’(松川)으로 고쳐 부르고, ‘솔골’은 ‘송곡’(松谷)으로 부른다.

순조 때 김매순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열양세시기>에는 “강화 바다 가운데 험한 암초가 있으니 ‘손석항’이라 부르는데, 손석항이라는 초공이 원통하게 빠져 죽은 곳으로, 그가 죽은 날이면 바람이 차고 전율을 일으켜, 뱃사람들이 경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른바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다. 그런데 사실 ‘손돌’은 ‘솔다’와 ‘돌다’가 합쳐진 말로, ‘좁은 목’을 뜻하는 ‘착량’(窄梁)을 ‘손돌’이라고 표기한 보기를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28
1918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49
1917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248
1916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47
1915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46
1914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244
1913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42
1912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39
191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37
1910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34
1909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32
1908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32
1907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230
1906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6
190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220
1904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20
1903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19
1902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217
1901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214
190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06
1899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205
1898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204
1897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2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