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5

손돌과 착량

조회 수 909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돌과 착량

땅이름

‘솔다’는 ‘너르다’와 반대로 공간이 좁을 때 쓴다. ‘저고리 품이 솔다’, ‘솔아 빠진 방’이라는 표현이 있다. 관련을 맺는 말들도 적잖은데, 말의 형태가 심하게 바뀌어 ‘솔다’에서 온 말인지 알기 어려울 때가 많다. ‘솔다’에 ‘곶’[串]이 합친 ‘송곳’이나, ‘솔다’에 ‘나무’가 합친 ‘소나무’가 있다. ‘송곳’의 옛말 형태가 ‘솔옷’이었음은 <훈몽자회>에서도 확인되는데, ‘솔옷 쵸[錐]’라고 풀이하였고, 어휘 사전인 <유합>에서는 ‘송곳 츄[錐]’라고 했다.

‘소나무’도 ‘솔다’에서 비롯된 말임은 낱말 짜임새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대체로 토박이말은 토박이말끼리, 한자어는 한자어끼리 어울린다. 이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는 한자어 ‘송’(松)에서 비롯된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솔’과 ‘송’의 발음이 유사하고 뜻이 같아 두 말이 뒤섞여 쓰인다. 그래서 ‘솔고개’, ‘솔내’를 ‘송현’(松峴), ‘송천’(松川)으로 고쳐 부르고, ‘솔골’은 ‘송곡’(松谷)으로 부른다.

순조 때 김매순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열양세시기>에는 “강화 바다 가운데 험한 암초가 있으니 ‘손석항’이라 부르는데, 손석항이라는 초공이 원통하게 빠져 죽은 곳으로, 그가 죽은 날이면 바람이 차고 전율을 일으켜, 뱃사람들이 경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른바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다. 그런데 사실 ‘손돌’은 ‘솔다’와 ‘돌다’가 합쳐진 말로, ‘좁은 목’을 뜻하는 ‘착량’(窄梁)을 ‘손돌’이라고 표기한 보기를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59
1016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39
1015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69
1014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8
1013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33
1012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22
101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36
101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05
1009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98
1008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00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63
1006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72
100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31
100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91
1003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78
100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53
100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04
1000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7
999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60
99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69
997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23
996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5
995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