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5

손돌과 착량

조회 수 90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돌과 착량

땅이름

‘솔다’는 ‘너르다’와 반대로 공간이 좁을 때 쓴다. ‘저고리 품이 솔다’, ‘솔아 빠진 방’이라는 표현이 있다. 관련을 맺는 말들도 적잖은데, 말의 형태가 심하게 바뀌어 ‘솔다’에서 온 말인지 알기 어려울 때가 많다. ‘솔다’에 ‘곶’[串]이 합친 ‘송곳’이나, ‘솔다’에 ‘나무’가 합친 ‘소나무’가 있다. ‘송곳’의 옛말 형태가 ‘솔옷’이었음은 <훈몽자회>에서도 확인되는데, ‘솔옷 쵸[錐]’라고 풀이하였고, 어휘 사전인 <유합>에서는 ‘송곳 츄[錐]’라고 했다.

‘소나무’도 ‘솔다’에서 비롯된 말임은 낱말 짜임새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대체로 토박이말은 토박이말끼리, 한자어는 한자어끼리 어울린다. 이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는 한자어 ‘송’(松)에서 비롯된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솔’과 ‘송’의 발음이 유사하고 뜻이 같아 두 말이 뒤섞여 쓰인다. 그래서 ‘솔고개’, ‘솔내’를 ‘송현’(松峴), ‘송천’(松川)으로 고쳐 부르고, ‘솔골’은 ‘송곡’(松谷)으로 부른다.

순조 때 김매순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열양세시기>에는 “강화 바다 가운데 험한 암초가 있으니 ‘손석항’이라 부르는데, 손석항이라는 초공이 원통하게 빠져 죽은 곳으로, 그가 죽은 날이면 바람이 차고 전율을 일으켜, 뱃사람들이 경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른바 ‘손돌바람’과 관련된 전설이다. 그런데 사실 ‘손돌’은 ‘솔다’와 ‘돌다’가 합쳐진 말로, ‘좁은 목’을 뜻하는 ‘착량’(窄梁)을 ‘손돌’이라고 표기한 보기를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38
154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01
1543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542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03
1541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4
1540 바람의종 2007.09.22 9107
1539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12
1538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3
1537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13
1536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1535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18
1534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19
1533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24
1532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6
153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29
1530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1529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36
1528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42
1527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526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48
1525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1524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1
1523 오랑캐 風磬 2007.01.19 9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