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6 22:38

실구디·실구지

조회 수 784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구디·실구지

사람이름

세종 10년(서기 1428년), 평안도 사는 분이(夫隱)라는 여인은 남편 유인수가 시앗과 함께 있는 것이 시기가 나 그의 아들 실구디(失仇知)와 친정오빠 됴텬(趙天)을 시켜 두 사람과 딸린 식구 여섯을 죽이게 했다. 법에 따라 능지처참에 해당한다고 하니 임금이 따랐다.

이름접미사에 ‘-구디’(仇知)가 있는데, 구디·거구디·그믐구디·돌구디·동구디·똥구디·막구디·멍구디·명구디·모구디·물구디·시구디·실구디·옥구디·을구디·어구디 따위 이름이 보인다. 돌구디·똥구디·믈구디·옥구디 따위의 이름은 돌구덩이·똥구덩이·물구덩이·옥구덩이처럼 들린다. ‘구덩이’를 경상 방언에서 ‘구디/구디이’, 충청 방언에서는 ‘구딩이’라고 한다. 중세 말에서 구덩이는 ‘굳’이라 했는데, 호칭접미사 ‘-이’가 붙은 ‘구디’가 이름접미사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두 사람이 하는 실뜨기 노래에 ‘실구대 소리’가 있는 것을 보면 실구디를 실꾸리라고 잘라 말하기는 힘든 듯하다. 거구디·명구디·모구디·시구디·을구디·어구디 따위에서 구덩이라는 뜻을 찾기 힘들며 이름접미사 ‘-구디’가 들어간 이름에 지나지 않는 듯하다.

1554년의 <명종실록>을 보면 함경도 영흥 백성 김실구지(金實仇之)가 벼락을 맞아 죽었다는 기사가 있다. <사리영응기>에서조차 사뭇 ‘실구디’로 나타나던 이름이 함경도 지방에서는 입천장소리되기가 되어 실구지로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름은 서울말로만 지어진 것이 아니라 고장말로도 지어졌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드러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34
2116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44
2115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44
2114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845
2113 냉면 사리 바람의종 2008.09.19 7847
2112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2111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8
2110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56
2109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56
2108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65
2107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2106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869
210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71
2104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2
2103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2102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80
2101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82
2100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5
209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886
209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86
2097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2096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98
2095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