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5 00:59

단말, 쓴말

조회 수 679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말, 쓴말

언어예절

“단말은 귀에 달고 쓴말은 귀에 거슬리나 마음에 이롭다.”

‘좋게 말하기’도 어렵지만 ‘듣기 좋은 말’을 하기도 쉽지 않다. 단말을 감언·미언·감사, 아양·아첨·아유에다 입발림, 말치레, 립서비스 …처럼 갖가지로 달리 일컫는 걸 보면 우리나라나 동양 사람들은 단말·단소리를 오래도록 아랫길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쓴말·쓴소리란 ‘하기 거북한 말’, ‘듣기 싫은 말’로서 충언·고언·간언(諫言)·훈계 따위로 일컬어 윗길로 쳤다. 입바르고 부정적이며 비판적이어서 사랑·용기가 뒷받침돼야 하는 까닭이다.

요즘 ‘칭찬하기’ 바람이 부는 모양이다. 그것이 말할이, 들을이 두루 힘을 내게 하는 성금이 있다는 교육·심리 이론이 뒷받침되면서 학교 밖으로도 번지는 판세다. ‘듣기 좋은 말’ 하기다. 나쁜 점보다 좋은 점을 가려 추어올리고 치켜세우면 그만큼 자신감이 생기고 우쭐해질 터이다. 깔아뭉개고 나무라기만 하는 것보다 훨씬 나은 방법일 수 있겠다. 칭찬에 인색할 일도 아니지만 말이 헤프다고 느껴지게 하거나 일삼아 한다면 이는 우스개로 떨어진다.

헐뜯고 흉보기를 즐긴다면 이는 ‘나쁘게 말하기’로서 쓴말과는 격이 다르다. 돌아서서 욕하기는 못난이한테 밴 버릇이다.

쓴말이든 단말이든 사물과 사람을 제대로 보지 않고는 나올 수 없다. 단말도 듣기에 따라 부끄럽고 거북할 때가 있고, 쓴말 또한 좋게 받아들이면 허물을 고칠 수 있다. 칭찬할 일은 칭찬하고 잘못된 짓을 했을 때는 나무라야 마땅하다. 대개는 단말을 먼저 하고 쓴말을 나중에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10
400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08
399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3
398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2
397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79
396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48
395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49
394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5
393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4
39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9
39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86
390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38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16
388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63
38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97
386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06
385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38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383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41
382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60
»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97
379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