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4 02:02

죽전과 삿대수

조회 수 825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죽전과 삿대수

땅이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황해북도 서흥군은 도호부가 있던 곳으로 동쪽은 신계현, 서쪽은 봉산군, 남쪽은 평산부, 북쪽은 수안군 사이에 있었다. 서흥부 동쪽 30리에 죽전(竹田)이란 곳이 있는데, 화살을 뜻하는 ‘죽전’(竹箭)으로도 불렀다. <용비어천가>에는 이 땅이름을 ‘전죽수’(箭竹藪)라고 했는데, ‘화살과 대나무와 늪’이란 뜻이다. 그런데 화살과 대나무, 그리고 늪은 아무 관련이 없는 사물들이다.

토박이 땅이름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우리말과 중국어의 말소리 차이를 살필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소리가 바뀐 한자음을 본음과 같게 만들고자 펴냈던 <동국정운>에서, 우리말 한자어 중 ‘리을(ㄹ) 받침’으로 끝나는 말들은 중국어의 경우 ‘디귿(ㄷ)’처럼 들리는 말들이었다. 이른바 이영보래(以影補來)는 한자음 영(ㆆ)으로 래(ㄹ)음을 보충함으로써 중국음에 가깝게 낸다는 뜻이다.

<용비어천가>에서 ‘전죽수’를 한글 ‘삿대수’로 표기한 점은 매우 흥미롭다. 왜냐하면 ‘전’(箭)은 우리말 ‘살’인데, 이를 ‘삿’으로 적었으므로 ‘전죽수’에서 ‘전’(箭)의 의미는 화살과는 관련이 없는 셈이다. 이 말은 ‘사이’를 뜻하는 ‘사△ㅣ’의 옛말 형태로 볼 수 있다. ‘삿’은 ‘사이’나 ‘새’로 바뀔 수도 있지만 ‘삿[또는 삳]’이 ‘살’로 바뀔 수도 있다. ‘전죽수’가 ‘여러 지형에 놓인 늪’을 뜻하는 말이라면, ‘죽전’(竹田)은 ‘전죽’의 어순이 바뀌어 형성된 동음이의어 ‘죽전’(竹箭)에서 온 말이 된다. 이처럼 ‘대밭’으로 풀이되는 죽전이라는 땅이름 속에 우리말의 또다른 모습이 담겼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02
1522 성+ 이름 바람의종 2012.03.27 11182
1521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63
1520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85
1519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93
1518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39
1517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7130
1516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7039
1515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400
151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814
1513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521
1512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803
1511 세 돈 금반지 바람의종 2009.07.18 8801
151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37
1509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75
1508 세금과 요금 바람의종 2008.05.11 5521
1507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78
1506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235
1505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7
150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649
1503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60
1502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65
1501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10.10.21 106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