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9

망오지·강아지

조회 수 848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망오지·강아지

사람이름

조선시대에 떼 지어 다니며 집에 불을 지르고 재물을 훔치는 불한당이 있었는데 명화도적(明火盜賊) 또는 화적으로도 불렸다. 1431년, 수구문 밖 벌아재에 중이 초막을 짓고 살았는데 화적패가 불을 지르고 살림살이를 들고 튀었다. 영서역에 나타난 여섯 사람 중 두 사람이 구실아치에게 잡혔는데 그 중 한 사람이 망오지였다.

망오지는 망아지와 비슷하나 중세 말로 망아지는 ‘ㅁ.야지’였다. ‘-아지/어지/오지’로 끝나는 이름에 가야지·干阿之(간아지)·간오지·강아지·도야지·동어지·망오지·명오지·벌거지·숑아지·?아지·큰벌어지 따위가 보인다. 가야지는 본디 잔가지로, 버들개지를 버들강아지로 재해석하는 경우가 있는데, 중세 말은 ‘버들가야지’였다. 개와 강아지, ‘돝’과 도야지, 소와 송아지, 말과 망아지는 본디 어미와 새끼 관계다. 벌어지(버러지)/벌거지는 벌레의 다른 말로, 벌레/벌개라는 말에 ‘-어지’가 붙은 것이다. 干(간)이 생강을 가리킬 때는 ‘강’으로 읽는다고 하는데 干阿之는 간아지 아닌 강아지인 듯하다. 개오지(개호주)가 강아지 아닌 범 새끼임을 볼 때 간오지·동어지·망오지·명오지는 섣불리 뜻을 짐작하기 어렵다.

망오지가 국문받는 곳으로 가보자. 김경의 종 막산·두지 등이 화적으로 잡혀 형신을 받았으나 장물이 없었다. 박연 등을 문초하니 두지·막산·미마이·부존·셔듕 등과 장물을 나눠 가졌다고 불었다. 부존은 부전과 비슷하다. 아이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부전이라 하며, 부전나비는 예서 비롯되었다. ‘미마이’는 낯설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757
1830 단음절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2.05 8522
1829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26
1828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8
1827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532
1826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34
1825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43
1824 봉숭아, 복숭아 바람의종 2008.09.18 8543
1823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46
1822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6
1821 담다 / 담그다 바람의종 2012.03.02 8549
1820 연패(連敗) / 연패(連覇) 바람의종 2010.03.12 8549
1819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50
1818 단골집 風磬 2006.11.06 8550
1817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556
1816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1815 노동1호 바람의종 2007.06.11 8557
1814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61
1813 여부(與否) 바람의종 2010.01.20 8563
1812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69
1811 옥새와 옥쇄 바람의종 2008.09.06 8570
1810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571
1809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