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06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07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0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75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1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70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12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76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890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32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29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933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388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24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2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46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187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296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71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28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43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591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43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4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