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15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98
1456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161
»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159
1454 무꾸리 風磬 2006.11.26 8159
1453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56
1452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6
1451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55
1450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51
1449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50
1448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9
1447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48
1446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7
1445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45
1444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45
1443 진저리 바람의종 2007.03.28 8142
1442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41
1441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41
1440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40
1439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1438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39
1437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138
1436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136
1435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