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3 21:56

짝태

조회 수 811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태

북녘말

짝태는 ‘명태의 배를 갈라서 밸을 꺼내고 소금에 절여서 넓적하게 말린 것’이다. 북어와의 차이는 ‘소금에 절여서 말렸다는 점’이다. 남녘에서는 짝태처럼 명태를 소금에 절여서 말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녘에서 북어는 ‘통째로 말린 것’과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낸 뒤 넓적하게 말린 것’ 두 가지가 있다. 말리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데, 둘 다 북어라 한다. 북녘에는 명태를 통째로 말린 북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서 ‘밸을 따서 바싹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녘의 초기 사전 <조선말사전>(1961)에서는 북어를 ‘말린 명태’로 풀이하고 있어서 남녘 사전의 풀이와 같다. 북어 말리는 방식이 원래 달랐는데 나중에 사전에 반영된 것인지, 말리는 방식이 나중에 달라진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북녘에서는 북어를 ‘마른명태’로도 쓴다.

짝태는 어디서 왔을까? 북녘에서 짝태와 같이 쓰이는 말로, ‘짝명태·짜개명태·개명태’가 있다. ‘짜개다’와 ‘명태’가 결합한 ‘짜개명태’에서 ‘짝명태’, ‘개명태’로 줄었다가 ‘짝태’까지 간 것으로 보인다. ‘짜개다’는 ‘수박을 둘로 짜개다’와 같이 둘이나 그 이상으로 갈라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말대사전>(1992)은 ‘물고기의 배를 짜개다’처럼 ‘속이 드러나게 헤쳐놓다’는 풀이를 하고 있다.

생태·북어·동태·명란·명란젓·창난·창난젓 등은 남북 두루 쓰인다. 다만, ‘황태’, 반쯤 말린 ‘코다리’, 명태 새끼 ‘노가리’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3
299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499
2995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80
299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31
2993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26
299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6
2991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42
299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71
2989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138
298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207
2987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821
2986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96
2985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69
298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624
2983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872
298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293
2981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826
2980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07
2979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78
2978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96
297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58
2976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81
2975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5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