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5

좋게 말하기

조회 수 82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게 말하기

언어예절

“좋은 말만 하며 지낸다면 얼마나 좋을까? 살다보면 나쁜 말도, 싫은 말도 하게 된다.”

여기서 ‘좋은 말’은 ‘듣기 좋은 말’이다. ‘싫은 말’을 떠올리게 한다. ‘좋게 말해’는? 긍정적으로, 좋은 뜻으로 말해서 정도인데, 역시 ‘나쁘게 말해’가 따라붙는다.

사물은 양면성이 있어서 ‘기다·아니다, 좋다·나쁘다’처럼 둘로 나뉜다. 나아가 다섯, 열 길로도 가를 수 있다. “기다, 아니다, 긴 것 같다, 아닌 것 같다, 긴 듯도 아닌 듯도 하다, 긴 것도 아닌 것도 아니다, 잘 모르겠다, 말하지 않겠다 …”처럼 갖가지로 느끼고 말할 수 있다. ‘두 길’로는 모자라지만 알아듣고 넘긴다.

이처럼 우리는 말을 부정확하게 쓰고도 넘어갈 때가 많고, ‘나쁘다, 싫다’를 연상해 좋은 것을 ‘좋지 않은’ 말로 버려놓기도 한다.

좋은 점이든 나쁜 점이든 제대로 알자면 사물을 속속들이 들추고 살피고서야 좀 보이는 법이고, 이로써 한가닥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 하고서 말을 하고 글을 쓴다면 그 말글은 들을 만하고 읽을 만할 터이다. 사물을 정확하게 보아 고갱이를 끌어내 제대로 짚어주는 말하기란 쉽지 않다. 아첨, 칭송, 꾸미기, 판박이 덕담보다 마음을 밝히고 힘을 주며 일을 이루게 하는 말하기가 제대로 된 ‘좋게 말하기’다. ‘좋은 것’을 제자리로 돌리는 운동과 연습이 아쉽다. 우리는 오래도록 ‘그래!’보다 ‘아니야!’에 이력이 났다. 이 정도면 큰 어려움 없이 ‘좋게 말하기’로 나아갈 수 있다. 둘은 한가지인데, 얼마나 사랑과 이해가 담겼느냐로 갈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45
2468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08.06.08 8727
2467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69
2466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78
2465 '날으는' 과 '나는' 바람의종 2008.06.09 8183
2464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53
2463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28
2462 장사 잘돼? 바람의종 2008.06.11 9946
2461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42
»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50
2459 '돋구다'와 '돋우다' 바람의종 2008.06.12 9689
2458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73
245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40
2456 막역/막연, 모사/묘사 바람의종 2008.06.13 9523
2455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5
2454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65
2453 개인 날 / 갠날, (-이-)의 표기오류 바람의종 2008.06.14 6901
2452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97
245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87
2450 너머/넘어 바람의종 2008.06.15 6474
2449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2448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51
2447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3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