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5

좋게 말하기

조회 수 832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게 말하기

언어예절

“좋은 말만 하며 지낸다면 얼마나 좋을까? 살다보면 나쁜 말도, 싫은 말도 하게 된다.”

여기서 ‘좋은 말’은 ‘듣기 좋은 말’이다. ‘싫은 말’을 떠올리게 한다. ‘좋게 말해’는? 긍정적으로, 좋은 뜻으로 말해서 정도인데, 역시 ‘나쁘게 말해’가 따라붙는다.

사물은 양면성이 있어서 ‘기다·아니다, 좋다·나쁘다’처럼 둘로 나뉜다. 나아가 다섯, 열 길로도 가를 수 있다. “기다, 아니다, 긴 것 같다, 아닌 것 같다, 긴 듯도 아닌 듯도 하다, 긴 것도 아닌 것도 아니다, 잘 모르겠다, 말하지 않겠다 …”처럼 갖가지로 느끼고 말할 수 있다. ‘두 길’로는 모자라지만 알아듣고 넘긴다.

이처럼 우리는 말을 부정확하게 쓰고도 넘어갈 때가 많고, ‘나쁘다, 싫다’를 연상해 좋은 것을 ‘좋지 않은’ 말로 버려놓기도 한다.

좋은 점이든 나쁜 점이든 제대로 알자면 사물을 속속들이 들추고 살피고서야 좀 보이는 법이고, 이로써 한가닥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 하고서 말을 하고 글을 쓴다면 그 말글은 들을 만하고 읽을 만할 터이다. 사물을 정확하게 보아 고갱이를 끌어내 제대로 짚어주는 말하기란 쉽지 않다. 아첨, 칭송, 꾸미기, 판박이 덕담보다 마음을 밝히고 힘을 주며 일을 이루게 하는 말하기가 제대로 된 ‘좋게 말하기’다. ‘좋은 것’을 제자리로 돌리는 운동과 연습이 아쉽다. 우리는 오래도록 ‘그래!’보다 ‘아니야!’에 이력이 났다. 이 정도면 큰 어려움 없이 ‘좋게 말하기’로 나아갈 수 있다. 둘은 한가지인데, 얼마나 사랑과 이해가 담겼느냐로 갈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93
288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16
2885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49
2884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7064
2883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7128
2882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79
2881 심금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9 13233
2880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60
2879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343
2878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6202
2877 안시성과 아골관 바람의종 2008.01.19 6907
2876 씨가 먹히다 바람의종 2008.01.20 8547
2875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38
2874 말차례 바람의종 2008.01.20 489098
2873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546
2872 달맞이꽃 바람의종 2008.01.20 6577
2871 아닌 밤중에 홍두깨 바람의종 2008.01.21 11764
2870 아퀴를 짓다 바람의종 2008.01.21 13361
2869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80
286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6
2867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63
2866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9096
2865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6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