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5

좋게 말하기

조회 수 831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게 말하기

언어예절

“좋은 말만 하며 지낸다면 얼마나 좋을까? 살다보면 나쁜 말도, 싫은 말도 하게 된다.”

여기서 ‘좋은 말’은 ‘듣기 좋은 말’이다. ‘싫은 말’을 떠올리게 한다. ‘좋게 말해’는? 긍정적으로, 좋은 뜻으로 말해서 정도인데, 역시 ‘나쁘게 말해’가 따라붙는다.

사물은 양면성이 있어서 ‘기다·아니다, 좋다·나쁘다’처럼 둘로 나뉜다. 나아가 다섯, 열 길로도 가를 수 있다. “기다, 아니다, 긴 것 같다, 아닌 것 같다, 긴 듯도 아닌 듯도 하다, 긴 것도 아닌 것도 아니다, 잘 모르겠다, 말하지 않겠다 …”처럼 갖가지로 느끼고 말할 수 있다. ‘두 길’로는 모자라지만 알아듣고 넘긴다.

이처럼 우리는 말을 부정확하게 쓰고도 넘어갈 때가 많고, ‘나쁘다, 싫다’를 연상해 좋은 것을 ‘좋지 않은’ 말로 버려놓기도 한다.

좋은 점이든 나쁜 점이든 제대로 알자면 사물을 속속들이 들추고 살피고서야 좀 보이는 법이고, 이로써 한가닥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 하고서 말을 하고 글을 쓴다면 그 말글은 들을 만하고 읽을 만할 터이다. 사물을 정확하게 보아 고갱이를 끌어내 제대로 짚어주는 말하기란 쉽지 않다. 아첨, 칭송, 꾸미기, 판박이 덕담보다 마음을 밝히고 힘을 주며 일을 이루게 하는 말하기가 제대로 된 ‘좋게 말하기’다. ‘좋은 것’을 제자리로 돌리는 운동과 연습이 아쉽다. 우리는 오래도록 ‘그래!’보다 ‘아니야!’에 이력이 났다. 이 정도면 큰 어려움 없이 ‘좋게 말하기’로 나아갈 수 있다. 둘은 한가지인데, 얼마나 사랑과 이해가 담겼느냐로 갈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42
2886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22
2885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6031
2884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6033
2883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4
2882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35
2881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6058
2880 나수 좀 드소! file 바람의종 2009.07.28 6063
287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72
2878 안성마춤 바람의종 2008.10.23 6073
2877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75
2876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76
2875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89
2874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94
2873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95
2872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6099
2871 대범한 도둑 바람의종 2009.07.16 6099
2870 사이소예 바람의종 2008.09.02 6102
2869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6106
2868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6108
2867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109
2866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109
2865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