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5

좋게 말하기

조회 수 826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좋게 말하기

언어예절

“좋은 말만 하며 지낸다면 얼마나 좋을까? 살다보면 나쁜 말도, 싫은 말도 하게 된다.”

여기서 ‘좋은 말’은 ‘듣기 좋은 말’이다. ‘싫은 말’을 떠올리게 한다. ‘좋게 말해’는? 긍정적으로, 좋은 뜻으로 말해서 정도인데, 역시 ‘나쁘게 말해’가 따라붙는다.

사물은 양면성이 있어서 ‘기다·아니다, 좋다·나쁘다’처럼 둘로 나뉜다. 나아가 다섯, 열 길로도 가를 수 있다. “기다, 아니다, 긴 것 같다, 아닌 것 같다, 긴 듯도 아닌 듯도 하다, 긴 것도 아닌 것도 아니다, 잘 모르겠다, 말하지 않겠다 …”처럼 갖가지로 느끼고 말할 수 있다. ‘두 길’로는 모자라지만 알아듣고 넘긴다.

이처럼 우리는 말을 부정확하게 쓰고도 넘어갈 때가 많고, ‘나쁘다, 싫다’를 연상해 좋은 것을 ‘좋지 않은’ 말로 버려놓기도 한다.

좋은 점이든 나쁜 점이든 제대로 알자면 사물을 속속들이 들추고 살피고서야 좀 보이는 법이고, 이로써 한가닥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리 하고서 말을 하고 글을 쓴다면 그 말글은 들을 만하고 읽을 만할 터이다. 사물을 정확하게 보아 고갱이를 끌어내 제대로 짚어주는 말하기란 쉽지 않다. 아첨, 칭송, 꾸미기, 판박이 덕담보다 마음을 밝히고 힘을 주며 일을 이루게 하는 말하기가 제대로 된 ‘좋게 말하기’다. ‘좋은 것’을 제자리로 돌리는 운동과 연습이 아쉽다. 우리는 오래도록 ‘그래!’보다 ‘아니야!’에 이력이 났다. 이 정도면 큰 어려움 없이 ‘좋게 말하기’로 나아갈 수 있다. 둘은 한가지인데, 얼마나 사랑과 이해가 담겼느냐로 갈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72
3062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715
3061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17
3060 “김” 風文 2023.03.06 1721
3059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725
305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26
3057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729
3056 갑질 風文 2024.03.27 1731
3055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736
3054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751
3053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751
3052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753
3051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756
3050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758
3049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761
3048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762
3047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763
3046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776
304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781
3044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785
3043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809
3042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810
3041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