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3

샘골과 시암실

조회 수 593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샘골과 시암실

땅이름

‘샘’은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말한다. 물이 솟듯이 힘이 솟는 것도 ‘샘솟다’라고 표현한다. 샘이 있는 곳이면 사람들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다. 그래서 샘과 관련된 땅이름도 매우 많다. 다만 ‘샘’은 솟아오르는 물이 적으며, 모여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기에 행정 지역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래서 큰 고을 이름은 ‘샘’에 해당하는 한자어 ‘천’(泉)이나 ‘정’(井)이 붙는다. 예를 들어 ‘뒷샘골’을 북천동(北泉洞)으로 맞옮겼으니 ‘북’은 방향으로 볼 때 뒤쪽에 해당하며, ‘천’은 ‘샘’을 뜻한다.

‘샘’은 지역 따라 발음 차이가 심하다. ‘시암’이라고 일컫는 지방이 많은데, 전북에서는 ‘통시암’[桶井], ‘시암내’[元泉里], ‘참시암골’[寒泉]은 익산이나 정읍 지역에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참시암골’에서 ‘참’은 ‘차다’의 ‘찬’이 바뀐 것이다. 또한 ‘시암’은 ‘시양’으로 바뀔 수도 있다. ‘시양골’도 전북 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샘’에 ‘골’(고을)이 붙으면 ‘샘골’을 이루며, 이때의 ‘샘’은 ‘골’에 있는 여린입천장소리 기역을 닮아 ‘이응’으로 바뀌면서 발음이 ‘생골’로 된다. 이렇게 바뀐 ‘생골’은 ‘생사 관념’을 만들어내며, 관련된 전설이 생겨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죽음에 다다른 사람이 살고 싶어 한 마을’, 또는 ‘괴로운 삶을 벗어나고자 한 사람이 꿈속에서 다녀왔던 마을’이라는 이야기는 이름에서 우물이 사라진 생골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이야기 형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49
378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5
37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35
376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73
375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49
»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37
373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22
372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45
371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68
370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65
369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2
36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2
367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20
366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26
365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197
36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26
363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31
362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40
361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60
360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84
359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23
358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27
357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