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3

샘골과 시암실

조회 수 5975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샘골과 시암실

땅이름

‘샘’은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말한다. 물이 솟듯이 힘이 솟는 것도 ‘샘솟다’라고 표현한다. 샘이 있는 곳이면 사람들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다. 그래서 샘과 관련된 땅이름도 매우 많다. 다만 ‘샘’은 솟아오르는 물이 적으며, 모여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기에 행정 지역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래서 큰 고을 이름은 ‘샘’에 해당하는 한자어 ‘천’(泉)이나 ‘정’(井)이 붙는다. 예를 들어 ‘뒷샘골’을 북천동(北泉洞)으로 맞옮겼으니 ‘북’은 방향으로 볼 때 뒤쪽에 해당하며, ‘천’은 ‘샘’을 뜻한다.

‘샘’은 지역 따라 발음 차이가 심하다. ‘시암’이라고 일컫는 지방이 많은데, 전북에서는 ‘통시암’[桶井], ‘시암내’[元泉里], ‘참시암골’[寒泉]은 익산이나 정읍 지역에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참시암골’에서 ‘참’은 ‘차다’의 ‘찬’이 바뀐 것이다. 또한 ‘시암’은 ‘시양’으로 바뀔 수도 있다. ‘시양골’도 전북 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샘’에 ‘골’(고을)이 붙으면 ‘샘골’을 이루며, 이때의 ‘샘’은 ‘골’에 있는 여린입천장소리 기역을 닮아 ‘이응’으로 바뀌면서 발음이 ‘생골’로 된다. 이렇게 바뀐 ‘생골’은 ‘생사 관념’을 만들어내며, 관련된 전설이 생겨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죽음에 다다른 사람이 살고 싶어 한 마을’, 또는 ‘괴로운 삶을 벗어나고자 한 사람이 꿈속에서 다녀왔던 마을’이라는 이야기는 이름에서 우물이 사라진 생골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이야기 형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202
1874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40
1873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1872 바람의종 2008.08.03 6707
1871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15
1870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67
1869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85
1868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70
1867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701
1866 벗어지다, 벗겨지다 바람의종 2008.11.15 8096
1865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820
1864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29
1863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862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624
1861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84
1860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74
1859 벽창호 風磬 2006.11.30 6120
1858 변죽 바람의종 2010.11.02 10958
1857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80
1856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5
1855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308
185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8
1853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8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