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3

샘골과 시암실

조회 수 5930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샘골과 시암실

땅이름

‘샘’은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말한다. 물이 솟듯이 힘이 솟는 것도 ‘샘솟다’라고 표현한다. 샘이 있는 곳이면 사람들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다. 그래서 샘과 관련된 땅이름도 매우 많다. 다만 ‘샘’은 솟아오르는 물이 적으며, 모여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기에 행정 지역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래서 큰 고을 이름은 ‘샘’에 해당하는 한자어 ‘천’(泉)이나 ‘정’(井)이 붙는다. 예를 들어 ‘뒷샘골’을 북천동(北泉洞)으로 맞옮겼으니 ‘북’은 방향으로 볼 때 뒤쪽에 해당하며, ‘천’은 ‘샘’을 뜻한다.

‘샘’은 지역 따라 발음 차이가 심하다. ‘시암’이라고 일컫는 지방이 많은데, 전북에서는 ‘통시암’[桶井], ‘시암내’[元泉里], ‘참시암골’[寒泉]은 익산이나 정읍 지역에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참시암골’에서 ‘참’은 ‘차다’의 ‘찬’이 바뀐 것이다. 또한 ‘시암’은 ‘시양’으로 바뀔 수도 있다. ‘시양골’도 전북 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샘’에 ‘골’(고을)이 붙으면 ‘샘골’을 이루며, 이때의 ‘샘’은 ‘골’에 있는 여린입천장소리 기역을 닮아 ‘이응’으로 바뀌면서 발음이 ‘생골’로 된다. 이렇게 바뀐 ‘생골’은 ‘생사 관념’을 만들어내며, 관련된 전설이 생겨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죽음에 다다른 사람이 살고 싶어 한 마을’, 또는 ‘괴로운 삶을 벗어나고자 한 사람이 꿈속에서 다녀왔던 마을’이라는 이야기는 이름에서 우물이 사라진 생골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이야기 형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43
187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17
1873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18
1872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21
187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24
187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25
1869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28
1868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28
186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2
1866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46
1865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53
1864 바람의종 2007.03.31 8355
1863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57
1862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360
1861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60
1860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5
1859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68
1858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68
1857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70
1856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374
1855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74
185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5
1853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