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1 02:14

앉은부채

조회 수 557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앉은부채

풀꽃이름
 




풀꽃이름을 들었을 때 금방 이해가 안 되는 이름이 있는데, ‘앉은부채’가 그렇다. 어떻게 부채가 앉을 수 있다는 말인가?

‘앉은부채’는 이른 봄에 겨울을 이겨내고 눈 속에 핀 모습을 볼 수 있다. 꽃을 감싸고 있는 포가 마치 당당하게 두른 여왕의 큰 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꽃이 부처님 머리를 닮았다. 어떤 이는 잎 모습이 커다란 부채를 떠오르게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나, 논리적으로도 ‘부채’가 앉아 있다고 하기보다는 ‘부처’가 앉아 있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꽃을 둘러싼 포를 부처의 후광인 불염포라 하기도 하며, 풀꽃 전체가 하나의 탱화를 보는 듯하다. 따라서 ‘부처’를 ‘부채’로 편하게 발음한 것이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곧, 키를 낮추어 자라는 부처님 닮은 풀꽃이라서 ‘앉은부처 > 앉은부채’가 된 것으로 생각한다. 이렇듯 불교식 풀꽃이름은 ‘불두화/ 부처손’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영어로는 ‘스컹크 양배추’(skunk cabbage)라 하는데, 나쁜 냄새가 나고 양배추 꼴이라서 그렇게 붙였을 것이다. 그러나 고기 썩는 듯한 냄새로 곤충을 끌어들여 번식하니, 무엇에나 그럴 만한 이유는 있는 법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한겨레> 자료사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99
308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880
3083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86
3082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910
3081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919
3080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921
3079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923
3078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925
307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38
307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941
3075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944
3074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945
3073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945
3072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954
3071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965
3070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971
3069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977
3068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983
3067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987
3066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991
306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996
3064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998
3063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2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