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9 06:07

손가락방아

조회 수 8002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가락방아

북녘말

“부지런히 벽에다 소리를 안내고 손가락방아를 찧어댔다.”(장편소설 <민들레>)
“설희의 뾰죽한 손가락침을 받은 경관놈은 얼결에 구두발을 토방아래에 내려놓았다.”(장편소설 <력사에 묻다> 2)

손가락방아는 ‘손가락 끝으로 바닥이나 벽, 무릎 등을 톡톡 치는 것’이다. 손가락침은 ‘지압하는 손가락’ 또는 ‘욕 할 때 무엇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뜻한다. 2007년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이다. 그 외에 새로 실린 말로 ‘손가락금, 손가락점’이 있다. 손가락금은 ‘손가락으로 그은 금’, 손가락점은 ‘손가락으로 치는 점’이다.

북녘에는 ‘손가락’이 들어간 말이 많이 있다. 이는 남녘에 비해 북녘에서 합성어를 너그럽게 인정하는 경향도 있지만, 손가락을 이용해 다듬은 말이나 새말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소개하면, 손가락과자(손가락꼴 과자), 손가락권총/손가락총(손가락질), 손가락도장(손도장·지장), 손가락말/손가락언어(수화), 손가락장단(손가락 끝으로 두드리면서 치는 장단), 손가락집(손가락장갑에서 손가락이 들어가는 부분) 등이 있다. 운동할 때 흔히 끼는 장갑으로, 손바닥 부위만 가리고 손가락은 맨손이 나오도록 된 장갑을 ‘손가락집이 없는 장갑’이라 한다. 벙어리장갑은 남북 두루 쓰는데, 북녘에서는 통장갑을 쓰기도 한다.

남녘 사전에 손가락이 들어간 말로 ‘손가락글, 손가락빗, 손가락뼈, 손가락셈, 손가락장갑’ 정도가 있는데, 남북이 함께 쓴다. ‘손가락표’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발가락양말은 아직 남북 사전에 실리지 않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67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3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0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2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87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39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800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2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4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68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8075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8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59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71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86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92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43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5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9059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4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633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54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