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9 06:07

손가락방아

조회 수 800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가락방아

북녘말

“부지런히 벽에다 소리를 안내고 손가락방아를 찧어댔다.”(장편소설 <민들레>)
“설희의 뾰죽한 손가락침을 받은 경관놈은 얼결에 구두발을 토방아래에 내려놓았다.”(장편소설 <력사에 묻다> 2)

손가락방아는 ‘손가락 끝으로 바닥이나 벽, 무릎 등을 톡톡 치는 것’이다. 손가락침은 ‘지압하는 손가락’ 또는 ‘욕 할 때 무엇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뜻한다. 2007년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이다. 그 외에 새로 실린 말로 ‘손가락금, 손가락점’이 있다. 손가락금은 ‘손가락으로 그은 금’, 손가락점은 ‘손가락으로 치는 점’이다.

북녘에는 ‘손가락’이 들어간 말이 많이 있다. 이는 남녘에 비해 북녘에서 합성어를 너그럽게 인정하는 경향도 있지만, 손가락을 이용해 다듬은 말이나 새말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소개하면, 손가락과자(손가락꼴 과자), 손가락권총/손가락총(손가락질), 손가락도장(손도장·지장), 손가락말/손가락언어(수화), 손가락장단(손가락 끝으로 두드리면서 치는 장단), 손가락집(손가락장갑에서 손가락이 들어가는 부분) 등이 있다. 운동할 때 흔히 끼는 장갑으로, 손바닥 부위만 가리고 손가락은 맨손이 나오도록 된 장갑을 ‘손가락집이 없는 장갑’이라 한다. 벙어리장갑은 남북 두루 쓰는데, 북녘에서는 통장갑을 쓰기도 한다.

남녘 사전에 손가락이 들어간 말로 ‘손가락글, 손가락빗, 손가락뼈, 손가락셈, 손가락장갑’ 정도가 있는데, 남북이 함께 쓴다. ‘손가락표’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발가락양말은 아직 남북 사전에 실리지 않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4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309
1456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1455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60
1454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60
1453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61
1452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451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67
1450 이마귀 바람의종 2008.01.24 9370
1449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0
1448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70
1447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72
144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77
144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80
1444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82
1443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82
1442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4
1441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94
1440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97
1439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1438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7
143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409
143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10
1435 -씩 바람의종 2010.01.23 9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