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9 06:07

손가락방아

조회 수 7995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가락방아

북녘말

“부지런히 벽에다 소리를 안내고 손가락방아를 찧어댔다.”(장편소설 <민들레>)
“설희의 뾰죽한 손가락침을 받은 경관놈은 얼결에 구두발을 토방아래에 내려놓았다.”(장편소설 <력사에 묻다> 2)

손가락방아는 ‘손가락 끝으로 바닥이나 벽, 무릎 등을 톡톡 치는 것’이다. 손가락침은 ‘지압하는 손가락’ 또는 ‘욕 할 때 무엇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뜻한다. 2007년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이다. 그 외에 새로 실린 말로 ‘손가락금, 손가락점’이 있다. 손가락금은 ‘손가락으로 그은 금’, 손가락점은 ‘손가락으로 치는 점’이다.

북녘에는 ‘손가락’이 들어간 말이 많이 있다. 이는 남녘에 비해 북녘에서 합성어를 너그럽게 인정하는 경향도 있지만, 손가락을 이용해 다듬은 말이나 새말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소개하면, 손가락과자(손가락꼴 과자), 손가락권총/손가락총(손가락질), 손가락도장(손도장·지장), 손가락말/손가락언어(수화), 손가락장단(손가락 끝으로 두드리면서 치는 장단), 손가락집(손가락장갑에서 손가락이 들어가는 부분) 등이 있다. 운동할 때 흔히 끼는 장갑으로, 손바닥 부위만 가리고 손가락은 맨손이 나오도록 된 장갑을 ‘손가락집이 없는 장갑’이라 한다. 벙어리장갑은 남북 두루 쓰는데, 북녘에서는 통장갑을 쓰기도 한다.

남녘 사전에 손가락이 들어간 말로 ‘손가락글, 손가락빗, 손가락뼈, 손가락셈, 손가락장갑’ 정도가 있는데, 남북이 함께 쓴다. ‘손가락표’는 북녘에서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발가락양말은 아직 남북 사전에 실리지 않았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32
198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7
1983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82
198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27
1981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9
198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8002
1979 바람의종 2009.03.18 5220
19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9
197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02
1976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52
197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74
1974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8
1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98
1972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74
1971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03
1970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38
196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42
1968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37
196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7
1966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96
196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2
1964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4
196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