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9 06:05

아들아, 딸아?

조회 수 485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들아, 딸아?

언어예절

아들은 아비를 아버지라 부르면서 왜 아비는 아들을 아들이라 부르지 않는가? 아버지·어머니(아빠·엄마)는 처음 배워 익힌 말이어서, 자라서는 아비어미 이름을 함부로 부르기 어려운 까닭이다. 아비는 한 사람이고 아들딸은 여럿이기도 하여 저마다 이름을 지어 부르는 까닭도 있다.

자기를 낮추어 남을 높이고, 남을 높여 자신을 낮추는 말씨가 아름답지만 쉬운 일은 아니다. “얘는 제 아들놈이고, 쟤는 제 딸년입니다.” 요즘 어른 앞에서 자기 아들딸을 가리켜 이런 식으로 소개하는 어버이가 몇이나 될까? 세태가 달라져 꼭 이렇게 쓰라고 가르쳐도 먹힐지 모르겠다.

“사랑하는 아들아!/ 사랑한다 아들아!/ 아들아, 세상은 험한 곳이란다/ 아들아, 너마저?/ 고맙다 아들아!/ 내 아들아, 너는 …/ 아들아, 아빠 다녀올게/ 날아라 아들아, 아버지가 뒤에 있다/ 내 아들아, 누구를 위해 목숨을 바쳤니!/ 아들아 아들아 ….”

여기에는 서양 역사책, 번역 성경, 책 제목, 언론 기사, 편지글, 직접 하는 말들이 섞여 있다. 시·노래·구호에서 젊은이를 ‘아들아! 딸들아!’처럼 싸잡아 묶음으로 불러 쓰는 정도는 자연스럽다.

집안에서는 ‘큰얘야! 막내야!’ 식으로 친근하게 부르지만 ‘큰아들아!, 막내딸아!’로 부르지는 않는다. 어릴 때는 이름을 부르고, 어른이 되어도 그저 ‘야야!, 얘야!’ 정도다. ‘아이고 내 아들아!’ ‘아이고 내 딸아!’는 몹시 반갑거나 슬플 때 분별심을 잃은 채 터뜨리는 말이다.

신문·방송에서 깨뜨리기를 즐기지만 호락호락하지는 않은 게 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25
3018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14
3017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478
3016 찰나 바람의종 2008.04.14 6697
3015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565
3014 차지다 , 찰지다 바람의종 2012.09.04 16154
3013 차이나 바람의종 2008.02.19 6811
3012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385
3011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05
3010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80
30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83
3008 차례와 뜨레 바람의종 2008.01.25 8135
3007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49
3006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6
3005 차돌배기 바람의종 2009.07.23 8636
3004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07
3003 찧다 / 빻다 바람의종 2010.07.30 16529
3002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028
300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69
3000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482
299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34
299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50
2997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