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8 00:05

얼레지

조회 수 605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레지
 




‘엘레지’가 아닌 ‘얼레지’는 예쁜 우리말이다. 얼레지는 꽃잎에도 무늬가 있고, 녹색 이파리에도 자줏빛 무늬가 여기저기 얼룩덜룩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봄에 산속에 많이 피어 강원도에서는 나물을 해 먹기도 하는데, 시큼한 맛이 입맛을 돋운다. 뿌리는 녹말가루가 많이 들어 있어 예전에는 구황식물로도 쓰였다.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활짝 핀 꽃잎이 가재의 집게를 떠오르게 하고, 같은 백합과인 무릇과 뿌리가 비슷하여 그렇게 부르는 듯하다. 그러나 어떤 이는 백양꽃이나 석산을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니, 그냥 얼레지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영어로는 ‘개이빨 바이올렛’(dog’s tooth violet)이라고 하는데, 이는 분홍색 꽃잎이 활짝 젖혀졌을 때 보이는 진한 보라색 삐죽삐죽한 무늬가 마치 개이빨처럼 생겼다고 그렇게 붙였거나, 잎의 얼룩이 개가 이리저리 물어놓은 것처럼 보여서 그렇게 붙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 따라 느낌이 다르겠지만, 얼레지 꽃은 온몸을 뒤로 젖히고 한쪽 다리로 얼음을 지치는 피겨 선수를 닮았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산속의 매력덩어리 그 자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55
2864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21
2863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2013
2862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010
2861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2003
2860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94
2859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92
2858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91
2857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90
2856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88
2855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80
2854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78
2853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78
2852 숟가락 바람의종 2010.05.28 11968
2851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0
2850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29
2849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27
284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21
2847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908
2846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1
2845 좋은 아침! 바람의종 2008.03.27 11898
284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894
2843 노일전쟁 바람의종 2010.06.19 118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