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8 00:05

얼레지

조회 수 604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레지
 




‘엘레지’가 아닌 ‘얼레지’는 예쁜 우리말이다. 얼레지는 꽃잎에도 무늬가 있고, 녹색 이파리에도 자줏빛 무늬가 여기저기 얼룩덜룩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봄에 산속에 많이 피어 강원도에서는 나물을 해 먹기도 하는데, 시큼한 맛이 입맛을 돋운다. 뿌리는 녹말가루가 많이 들어 있어 예전에는 구황식물로도 쓰였다.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활짝 핀 꽃잎이 가재의 집게를 떠오르게 하고, 같은 백합과인 무릇과 뿌리가 비슷하여 그렇게 부르는 듯하다. 그러나 어떤 이는 백양꽃이나 석산을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니, 그냥 얼레지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영어로는 ‘개이빨 바이올렛’(dog’s tooth violet)이라고 하는데, 이는 분홍색 꽃잎이 활짝 젖혀졌을 때 보이는 진한 보라색 삐죽삐죽한 무늬가 마치 개이빨처럼 생겼다고 그렇게 붙였거나, 잎의 얼룩이 개가 이리저리 물어놓은 것처럼 보여서 그렇게 붙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 따라 느낌이 다르겠지만, 얼레지 꽃은 온몸을 뒤로 젖히고 한쪽 다리로 얼음을 지치는 피겨 선수를 닮았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산속의 매력덩어리 그 자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88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127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50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94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51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232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41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8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90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13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606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89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62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47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95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08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43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61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71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23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