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8 00:05

얼레지

조회 수 604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레지
 




‘엘레지’가 아닌 ‘얼레지’는 예쁜 우리말이다. 얼레지는 꽃잎에도 무늬가 있고, 녹색 이파리에도 자줏빛 무늬가 여기저기 얼룩덜룩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봄에 산속에 많이 피어 강원도에서는 나물을 해 먹기도 하는데, 시큼한 맛이 입맛을 돋운다. 뿌리는 녹말가루가 많이 들어 있어 예전에는 구황식물로도 쓰였다.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활짝 핀 꽃잎이 가재의 집게를 떠오르게 하고, 같은 백합과인 무릇과 뿌리가 비슷하여 그렇게 부르는 듯하다. 그러나 어떤 이는 백양꽃이나 석산을 가재무릇으로 부르기도 하니, 그냥 얼레지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영어로는 ‘개이빨 바이올렛’(dog’s tooth violet)이라고 하는데, 이는 분홍색 꽃잎이 활짝 젖혀졌을 때 보이는 진한 보라색 삐죽삐죽한 무늬가 마치 개이빨처럼 생겼다고 그렇게 붙였거나, 잎의 얼룩이 개가 이리저리 물어놓은 것처럼 보여서 그렇게 붙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람 따라 느낌이 다르겠지만, 얼레지 꽃은 온몸을 뒤로 젖히고 한쪽 다리로 얼음을 지치는 피겨 선수를 닮았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산속의 매력덩어리 그 자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85
3084 -분, 카울 風文 2020.05.14 1681
3083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85
3082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686
3081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686
308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89
3079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696
3078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701
3077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704
3076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13
3075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13
3074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721
3073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724
3072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37
3071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744
3070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747
3069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748
3068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749
3067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757
3066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766
3065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778
3064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781
3063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