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7 16:06

도리장이·물자이

조회 수 7440 추천 수 49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리장이·물자이

사람이름

태조 5년(1396), 장성 사는 도리장이는 아버지가 성 쌓으러 가서 병을 얻었다는 말을 듣고 목을 놓아 울었다. 형제도 없으니 자신이 찾아가 보아야 살아 돌아오실 것이라며 남자 옷으로 갈아입고 곧장 달려가 아버지를 정성껏 돌봐 돌아오니 고향에서는 효녀라 칭찬이 자자했다. 소문을 들은 조정에서 도리장이에게 베를 내려주었다.

이름접미사 ‘-장’(庄/莊/藏)은 ‘-장이’로 흔히 쓰였던 것 같다. 계집이름에 장이·가디장이·ㄱ. 리장이·귀장이·넙장이·논장이·눅장이·도리장이·돌장이·막장이·맵장이·믜장이·배장이·솟장이·쟈근장이·흰장이·호근장이가 있다. ‘믜’는 옛말로 해삼을 이른다. 사내이름인 곶장이는 곧장, 늦장이는 늑장 부리는 이에게 어울리는 이름이다.

역사를 보면, 무자이(水尺=수척)·수자이(禾尺=화척=도살업자)·춤자이(舞尺=무척)·칼자이(刀尺=도척=요리사) 따위의 부류가 있는데, 몸은 양인이면서 그런 일을 하는 사람들(身良役賤)이다. ‘자이’(尺)는 접미사로도 쓰여 키 큰 사람을 이를 때 ‘꺽자이’라고도 한다. ‘자이’가 나중에 ‘장이’로 바뀐 듯하다. 이름접미사로 ‘-장/장이’가 있듯이 ‘-자이/재’(才/佐) 또한 쓰였다. 귀자이·노자이·되자이·물자이·번자이/번재·씨자이·약자이 따위 이름이 있다.

요즘 말에서 땜장이 따위 직업은 ‘-장이’, 고집쟁이 따위 성품은 ‘-쟁이’로 구별하여 적는다. 갓바치·풀무아치 따위 장인이 ‘-바치/아치’로 따로 있었음을 볼 때 같은 뿌리에서 온 말을 ‘-장이/쟁이’로 갈라야 할 까닭이 꼭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45
1038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1
1037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54
1036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221
1035 도요새 바람의종 2009.08.29 6315
1034 도시이름 바람의종 2011.11.14 13343
1033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55
1032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1031 도무지 風磬 2006.11.06 10211
1030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65
»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40
1028 도로아미타불 바람의종 2008.02.05 8124
1027 도레미파솔라시 바람의종 2010.01.27 8611
1026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36
102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66
1024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70
1023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422
1022 도꼬리 바람의종 2008.02.05 13794
1021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37
1020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30
1019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58
1018 덩쿨/넝쿨, 쇠고기/소고기 바람의종 2008.08.28 8615
1017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