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7 15:55

사탕·기름사탕

조회 수 874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탕·기름사탕

북녘말

사탕과 설탕은 원래 구별 없이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탕가루·가루사탕·모래사탕·백사탕·백설탕·각사탕·모사탕·흑사탕·흑설탕·황설탕’은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다. 사탕(沙糖·砂糖)은 ‘모래와 같은 가루 상태’를, 설탕(雪糖)은 ‘눈처럼 하얀 가루 상태’를 가리킨다. 사탕과 설탕은 그 말 자체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남녘에서는 ‘단맛이 나는 물질’을 설탕으로, ‘설탕을 녹여서 만든 과자’를 사탕으로 구별해서 쓰는 경향이 있다. 북녘에서는 두 가지 모두 사탕으로 쓴다. 남녘 사전에 ‘각사탕’도 있지만 남녘에서는 주로 ‘각설탕’을 쓰는 반면, 북녘에서는 ‘각사탕, 모사탕’을 쓰고, ‘각설탕’은 쓰지 않는다. ‘검은사탕, 누렁사탕’은 ‘흑설탕’과 같은 말인데, 북녘에서 다듬은 말이다. 남녘에서도 쓰는 ‘사탕수수, 사탕무’는 ‘설탕의 재료가 되는 수수나무’인데도 ‘사탕’이라는 말을 쓰고 있어서 사탕과 설탕을 구별하지 않던 흔적이라 하겠다.

북녘말 ‘기름사탕’은 남녘에서 흔히 ‘캬라멜’로도 쓰는 ‘캐러멜’(caramel)을 다듬은 말이다. ‘캬라멜’과 ‘캐러멜’은 1950년대 이전에도 쓰였는데, 57년에 나온 <큰사전>부터 현재까지 ‘캬라멜’을 비표준어로, ‘캐러멜’을 표준어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캬라멜’을 쓰는 사람이 꽤 많다. ‘캬라멜’이 상표에 쓰이는 영향인지, ‘캐러멜’이 그렇게 거부감이 드는 것인지 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북녘에서는 1962년 <조선말 사전>부터 ‘캬라멜’을 표준으로 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08
1764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20
1763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19
1762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16
1761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13
1760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06
1759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06
1758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04
1757 보유고, 판매고, 수출고 바람의종 2010.10.14 8801
1756 저린다 바람의종 2010.10.30 8800
1755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99
175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799
1753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91
1752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789
1751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87
1750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84
1749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80
1748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778
1747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70
1746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7
174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66
1744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66
1743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