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7 15:55

사탕·기름사탕

조회 수 876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탕·기름사탕

북녘말

사탕과 설탕은 원래 구별 없이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탕가루·가루사탕·모래사탕·백사탕·백설탕·각사탕·모사탕·흑사탕·흑설탕·황설탕’은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다. 사탕(沙糖·砂糖)은 ‘모래와 같은 가루 상태’를, 설탕(雪糖)은 ‘눈처럼 하얀 가루 상태’를 가리킨다. 사탕과 설탕은 그 말 자체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남녘에서는 ‘단맛이 나는 물질’을 설탕으로, ‘설탕을 녹여서 만든 과자’를 사탕으로 구별해서 쓰는 경향이 있다. 북녘에서는 두 가지 모두 사탕으로 쓴다. 남녘 사전에 ‘각사탕’도 있지만 남녘에서는 주로 ‘각설탕’을 쓰는 반면, 북녘에서는 ‘각사탕, 모사탕’을 쓰고, ‘각설탕’은 쓰지 않는다. ‘검은사탕, 누렁사탕’은 ‘흑설탕’과 같은 말인데, 북녘에서 다듬은 말이다. 남녘에서도 쓰는 ‘사탕수수, 사탕무’는 ‘설탕의 재료가 되는 수수나무’인데도 ‘사탕’이라는 말을 쓰고 있어서 사탕과 설탕을 구별하지 않던 흔적이라 하겠다.

북녘말 ‘기름사탕’은 남녘에서 흔히 ‘캬라멜’로도 쓰는 ‘캐러멜’(caramel)을 다듬은 말이다. ‘캬라멜’과 ‘캐러멜’은 1950년대 이전에도 쓰였는데, 57년에 나온 <큰사전>부터 현재까지 ‘캬라멜’을 비표준어로, ‘캐러멜’을 표준어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캬라멜’을 쓰는 사람이 꽤 많다. ‘캬라멜’이 상표에 쓰이는 영향인지, ‘캐러멜’이 그렇게 거부감이 드는 것인지 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북녘에서는 1962년 <조선말 사전>부터 ‘캬라멜’을 표준으로 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402
1698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38
1697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845
1696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847
1695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849
1694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852
1693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58
1692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59
1691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61
1690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863
1689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865
1688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70
1687 억수 風磬 2007.01.19 8873
1686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881
1685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84
1684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85
1683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85
1682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888
1681 무동태우다 바람의종 2007.05.09 8893
1680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93
1679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94
1678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895
1677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