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7 15:55

사탕·기름사탕

조회 수 875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탕·기름사탕

북녘말

사탕과 설탕은 원래 구별 없이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탕가루·가루사탕·모래사탕·백사탕·백설탕·각사탕·모사탕·흑사탕·흑설탕·황설탕’은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다. 사탕(沙糖·砂糖)은 ‘모래와 같은 가루 상태’를, 설탕(雪糖)은 ‘눈처럼 하얀 가루 상태’를 가리킨다. 사탕과 설탕은 그 말 자체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남녘에서는 ‘단맛이 나는 물질’을 설탕으로, ‘설탕을 녹여서 만든 과자’를 사탕으로 구별해서 쓰는 경향이 있다. 북녘에서는 두 가지 모두 사탕으로 쓴다. 남녘 사전에 ‘각사탕’도 있지만 남녘에서는 주로 ‘각설탕’을 쓰는 반면, 북녘에서는 ‘각사탕, 모사탕’을 쓰고, ‘각설탕’은 쓰지 않는다. ‘검은사탕, 누렁사탕’은 ‘흑설탕’과 같은 말인데, 북녘에서 다듬은 말이다. 남녘에서도 쓰는 ‘사탕수수, 사탕무’는 ‘설탕의 재료가 되는 수수나무’인데도 ‘사탕’이라는 말을 쓰고 있어서 사탕과 설탕을 구별하지 않던 흔적이라 하겠다.

북녘말 ‘기름사탕’은 남녘에서 흔히 ‘캬라멜’로도 쓰는 ‘캐러멜’(caramel)을 다듬은 말이다. ‘캬라멜’과 ‘캐러멜’은 1950년대 이전에도 쓰였는데, 57년에 나온 <큰사전>부터 현재까지 ‘캬라멜’을 비표준어로, ‘캐러멜’을 표준어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캬라멜’을 쓰는 사람이 꽤 많다. ‘캬라멜’이 상표에 쓰이는 영향인지, ‘캐러멜’이 그렇게 거부감이 드는 것인지 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북녘에서는 1962년 <조선말 사전>부터 ‘캬라멜’을 표준으로 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09
1808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487
1807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10.24 21302
1806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253
1805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88
1804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53
1803 부럼 風磬 2006.12.20 7211
1802 부름말과 지칭 바람의종 2008.03.12 10818
1801 부릅뜨다 file 바람의종 2010.01.11 8823
1800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519
1799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450
1798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791
1797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19
1796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61
1795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36
1794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7
1793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73
1792 부엉이 바람의종 2009.03.01 6272
17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8
1790 부엌떼기, 새침데기, 귀때기 바람의종 2009.02.10 7600
1789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3
1788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11
1787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