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5 20:33

한강과 사평

조회 수 779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강과 사평

땅이름

한강은 옛날 ‘사평’(沙平), ‘사리’(沙里)로 불린 적이 있다. <용비어천가> 제14장에 “한강은 옛날에 일컫기를 사평도라 불렸으며 속칭으로 사리진이라고도 했는데, 근원은 오대산에서 출발하여 영월군 서쪽에 이르러 ‘가근동’(加斤洞)에 합류하고, 충주 달천(達川)과 합쳐 연천(淵遷)을 이루며, 서로 흘러 안창수와 합치고 여흥부에서 여강이 되며, 천령현에서 ‘이포’(梨浦)를 이루고, 양근군의 ‘대탄’(大灘)과 ‘사포’(蛇浦)를 이루는 것이 하나의 줄기”라고 풀이했다. ‘가근동’은 한글로 적었고, ‘달천’은 ‘달내’, ‘연천’은 ‘쇠벼ㄹ. ’, ‘이포’는 ‘ㅂ.ㅣ애’, ‘대탄’은 ‘한여흘’, ‘사포’는 ‘ㅂ.ㅣ얌개’로 표기하여 토박이말과 한자말의 대응관계를 보였다.

‘이포’와 ‘ㅂ.ㅣ애’, ‘사포’와 ‘ㅂ.ㅣ얌개’, ‘대탄’과 ‘한여흘’의 대응은 쉽게 알 수 있고, ‘연천’의 ‘연’도 ‘소’를 옮긴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강’의 또다른 이름인 ‘사평’과 ‘사리’는 어디서 비롯됐는지 쉽게 짐작되지 않는다. 그러나 ‘평’이 ‘벌’을 뜻하는 한자말이라는 점, ‘사리’가 속칭으로 기록된 점을 고려한다면, ‘사평’과 ‘사리’는 ‘서울’의 원형인 ‘서벌’ 또는 ‘서라벌’과 같은 형태의 말임을 알게 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 ‘경주부’ 역이름 중 ‘사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역을 ‘활리’(活里)라고도 했다. ‘사리’가 ‘살다’와 관련이 있음을 뜻하는 셈이다. ‘사평’, ‘사리’, ‘활리’ 등은 ‘삶’을 뜻하는 우리말을 적는 또다른 방법이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24
1236 자라목 바람의종 2007.03.16 7745
1235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740
123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740
1233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6
1232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33
1231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30
1230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727
1229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725
1228 아시저녁·아시잠 바람의종 2008.01.31 7723
1227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720
1226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720
1225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717
1224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717
1223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714
1222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711
1221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711
1220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710
1219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708
1218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706
1217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705
1216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1215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7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