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4 13:38

돈자리·행표

조회 수 678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돈자리·행표

북녘말

남북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쓰는 경제 용어들을 만나게 된다. 북녘에서 ‘현금으로가 아니라 은행의 돈자리를 통하여 실시되는 경제거래’는 무엇일까? ‘무현금 거래’다. 무현금 거래는 남북 두루 쓰는 말이고, 사전 풀이도 남북이 같다. ‘돈자리’는 낯익은 말인데도 뜻은 금방 이해하기 어렵다.

‘돈자리’는 남녘의 ‘계좌’(計座)와 같은 말이다. 북녘에서는 경제활동에서 ‘계좌’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구좌’(口座)가 있는데 이 말은 일본어에서 온 말이다. 그래서 북녘에서는 ‘돈자리’로 다듬었고, 남녘에서는 ‘계좌’로 순화했다. ‘셈자리’라고도 한다. 북녘에서 계좌는 ‘묏자리나 집터가 계방(癸方)을 등진 방향’이라는 뜻의 계좌(癸坐)가 된다. 이는 남녘에서도 쓴다.

북남에서 다르게 쓰는 경제 용어로는 결제돈자리/결제계좌, 시좌예금(時座預金)/요구불 예금, 행표(行票)/수표, 화페/화폐 등이 있다. 북녘에서 수표는 남녘의 ‘서명, 사인’의 뜻이다. 화폐(貨幣)는 남북이 같이 쓰는 한자말인데도 표기가 다르다. 이는 한자 ‘幣’의 음을 달리 적기 때문이다. 이 한자가 들어간 말은 ‘지페/지폐, 조페/조폐, 페백/폐백’과 같이 모두 차이가 있다.

한편, 남녘에서는 예금 계정, 계정 계좌와 같이 계정을 쓰는데, 북녘에서는 계정(計定)을 쓰지 않는다. 북녘에서 계정은 ‘길을 떠난다’는 계정(啓程)이나 ‘층계 앞에 있는 뜰’을 뜻하는 계정(階庭)이 된다. 계정(階庭)은 남녘에서도 쓰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31
1060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631
1059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84
1058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710
105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29
1056 돌팔이 風磬 2006.11.16 8128
1055 돌쇠 바람의종 2008.10.25 5980
1054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07
1053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8
1052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48
1051 돌나물 바람의종 2008.06.02 7453
1050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5
1049 돋우다와 돋구다 바람의종 2010.03.22 13780
»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87
1047 돈놀이 바람의종 2009.03.01 7094
1046 돈까스 바람의종 2008.02.05 8865
104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12
1044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90
1043 風磬 2006.11.06 6917
1042 독촉, 독려 바람의종 2010.10.11 11441
1041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40
1040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28
1039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