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자리·행표

by 바람의종 posted Jun 04,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돈자리·행표

북녘말

남북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쓰는 경제 용어들을 만나게 된다. 북녘에서 ‘현금으로가 아니라 은행의 돈자리를 통하여 실시되는 경제거래’는 무엇일까? ‘무현금 거래’다. 무현금 거래는 남북 두루 쓰는 말이고, 사전 풀이도 남북이 같다. ‘돈자리’는 낯익은 말인데도 뜻은 금방 이해하기 어렵다.

‘돈자리’는 남녘의 ‘계좌’(計座)와 같은 말이다. 북녘에서는 경제활동에서 ‘계좌’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구좌’(口座)가 있는데 이 말은 일본어에서 온 말이다. 그래서 북녘에서는 ‘돈자리’로 다듬었고, 남녘에서는 ‘계좌’로 순화했다. ‘셈자리’라고도 한다. 북녘에서 계좌는 ‘묏자리나 집터가 계방(癸方)을 등진 방향’이라는 뜻의 계좌(癸坐)가 된다. 이는 남녘에서도 쓴다.

북남에서 다르게 쓰는 경제 용어로는 결제돈자리/결제계좌, 시좌예금(時座預金)/요구불 예금, 행표(行票)/수표, 화페/화폐 등이 있다. 북녘에서 수표는 남녘의 ‘서명, 사인’의 뜻이다. 화폐(貨幣)는 남북이 같이 쓰는 한자말인데도 표기가 다르다. 이는 한자 ‘幣’의 음을 달리 적기 때문이다. 이 한자가 들어간 말은 ‘지페/지폐, 조페/조폐, 페백/폐백’과 같이 모두 차이가 있다.

한편, 남녘에서는 예금 계정, 계정 계좌와 같이 계정을 쓰는데, 북녘에서는 계정(計定)을 쓰지 않는다. 북녘에서 계정은 ‘길을 떠난다’는 계정(啓程)이나 ‘층계 앞에 있는 뜰’을 뜻하는 계정(階庭)이 된다. 계정(階庭)은 남녘에서도 쓰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