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4

새해 인사

조회 수 656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인사

언어예절

“선생님 안녕하세요? … 다가오는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활기차게 좋은 일들 많이 엮어 가시기를 바랍니다. 진심으로요./ 메리, 메리 크리스마스! 늘 행복하세요./ 해피 뉴 이어!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좋은 날 되세요.”

안부조차 묻지 못하고 지내다 벌써 세밑이다. 앞 따온말은 어느 문필가 누리집에 올린 전자말 인사편지다. 이따금 ‘새해 인사 드립니다’라 하는데, 이는 인사를 하기 전에나 할 말이지 인사말은 아니다. 인사할 때는 ‘인사’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 “안녕하세요”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와 같이 안부를 여쭙거나 덕담하는 일, 직접 절하는 일이 인사다.

앞서 인용한 인사말은 챙길 걸 두루 갖춘데다 무척 정답고 발랄한 맛이 담겼다. 다만 “메리 …”부터는 군더더기다. ‘해피 뉴 이어’는 또 뭔가. 세밑에 성탄절이 겹쳐 시중에서 찍어 파는 카드·연하장에 성탄과 새해 맞이 말을 두세 가지 글자로 겹쳐 박아 파는데, 그 노력경제 또는 이중성이 껄끄러울 때가 많다. 또한 사람 보고 ‘좋은 날 되라’면 ‘윤회’하여 시간이 되라는 막말일시 분명하니 ‘좋은 날 누리세요’가 맞다.

설이 달포는 더 남았는데도 무자년이니 쥐해니 지레 ‘간지’를 들추는 것도 우습다. 새해 인사는 연초에 하는 게 걸맞고, 판박이 복·덕에서 벗어나 보거나 예스런 말을 써 보는 것도 좋겠다.

“뜻대로 이루소서!” “새해에도 복덕을 곰비임비 누리소서!” “덕으란 곰ㅂ.ㅣ예 받잡고 복으란 림ㅂ.ㅣ예 받자옵소서”(‘동동’ 첫마디)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37
378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5
377 망오지·강아지 바람의종 2008.06.13 8435
376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73
375 좋게 말하기 바람의종 2008.06.12 8249
374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41
373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25
372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45
371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68
370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68
369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6
368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2
367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20
366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31
365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197
36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39
363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36
362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40
»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63
360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84
359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26
358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29
357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