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4

새해 인사

조회 수 660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인사

언어예절

“선생님 안녕하세요? … 다가오는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활기차게 좋은 일들 많이 엮어 가시기를 바랍니다. 진심으로요./ 메리, 메리 크리스마스! 늘 행복하세요./ 해피 뉴 이어!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좋은 날 되세요.”

안부조차 묻지 못하고 지내다 벌써 세밑이다. 앞 따온말은 어느 문필가 누리집에 올린 전자말 인사편지다. 이따금 ‘새해 인사 드립니다’라 하는데, 이는 인사를 하기 전에나 할 말이지 인사말은 아니다. 인사할 때는 ‘인사’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 “안녕하세요”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와 같이 안부를 여쭙거나 덕담하는 일, 직접 절하는 일이 인사다.

앞서 인용한 인사말은 챙길 걸 두루 갖춘데다 무척 정답고 발랄한 맛이 담겼다. 다만 “메리 …”부터는 군더더기다. ‘해피 뉴 이어’는 또 뭔가. 세밑에 성탄절이 겹쳐 시중에서 찍어 파는 카드·연하장에 성탄과 새해 맞이 말을 두세 가지 글자로 겹쳐 박아 파는데, 그 노력경제 또는 이중성이 껄끄러울 때가 많다. 또한 사람 보고 ‘좋은 날 되라’면 ‘윤회’하여 시간이 되라는 막말일시 분명하니 ‘좋은 날 누리세요’가 맞다.

설이 달포는 더 남았는데도 무자년이니 쥐해니 지레 ‘간지’를 들추는 것도 우습다. 새해 인사는 연초에 하는 게 걸맞고, 판박이 복·덕에서 벗어나 보거나 예스런 말을 써 보는 것도 좋겠다.

“뜻대로 이루소서!” “새해에도 복덕을 곰비임비 누리소서!” “덕으란 곰ㅂ.ㅣ예 받잡고 복으란 림ㅂ.ㅣ예 받자옵소서”(‘동동’ 첫마디)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307
187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4
187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903
1872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70
1871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86
1870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29
1869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10
1868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76
1867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93
1866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32
1865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108
1864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66
1863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83
1862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54
1861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931
1860 여우비 바람의종 2009.05.26 6840
1859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70
1858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1857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7
1856 껍질, 껍데기 바람의종 2009.05.28 10671
1855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바람의종 2009.05.28 14157
1854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1853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