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3 12:34

새해 인사

조회 수 655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해 인사

언어예절

“선생님 안녕하세요? … 다가오는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활기차게 좋은 일들 많이 엮어 가시기를 바랍니다. 진심으로요./ 메리, 메리 크리스마스! 늘 행복하세요./ 해피 뉴 이어!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좋은 날 되세요.”

안부조차 묻지 못하고 지내다 벌써 세밑이다. 앞 따온말은 어느 문필가 누리집에 올린 전자말 인사편지다. 이따금 ‘새해 인사 드립니다’라 하는데, 이는 인사를 하기 전에나 할 말이지 인사말은 아니다. 인사할 때는 ‘인사’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다. “안녕하세요”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와 같이 안부를 여쭙거나 덕담하는 일, 직접 절하는 일이 인사다.

앞서 인용한 인사말은 챙길 걸 두루 갖춘데다 무척 정답고 발랄한 맛이 담겼다. 다만 “메리 …”부터는 군더더기다. ‘해피 뉴 이어’는 또 뭔가. 세밑에 성탄절이 겹쳐 시중에서 찍어 파는 카드·연하장에 성탄과 새해 맞이 말을 두세 가지 글자로 겹쳐 박아 파는데, 그 노력경제 또는 이중성이 껄끄러울 때가 많다. 또한 사람 보고 ‘좋은 날 되라’면 ‘윤회’하여 시간이 되라는 막말일시 분명하니 ‘좋은 날 누리세요’가 맞다.

설이 달포는 더 남았는데도 무자년이니 쥐해니 지레 ‘간지’를 들추는 것도 우습다. 새해 인사는 연초에 하는 게 걸맞고, 판박이 복·덕에서 벗어나 보거나 예스런 말을 써 보는 것도 좋겠다.

“뜻대로 이루소서!” “새해에도 복덕을 곰비임비 누리소서!” “덕으란 곰ㅂ.ㅣ예 받잡고 복으란 림ㅂ.ㅣ예 받자옵소서”(‘동동’ 첫마디) ….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83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32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220
    read more
  4. 생물·화학무기

    Date2008.04.05 By바람의종 Views10490
    Read More
  5. 생략되는 주격조사

    Date2010.01.23 By바람의종 Views9604
    Read More
  6. 생때같다

    Date2010.03.09 By바람의종 Views12582
    Read More
  7. 생때, 생떼

    Date2010.04.10 By바람의종 Views9995
    Read More
  8. 생각보다, 효녀 노릇

    Date2022.09.02 By風文 Views1170
    Read More
  9. 생각두룩새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5728
    Read More
  10. 생각 뒤

    Date2009.08.05 By바람의종 Views8332
    Read More
  11. 샘골과 시암실

    Date2008.06.12 By바람의종 Views5927
    Read More
  12. 샌드위치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671
    Read More
  13. 샌님

    Date2006.12.29 By風磬 Views10609
    Read More
  14. 색깔이름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21803
    Read More
  15. 색감

    Date2009.02.04 By바람의종 Views6384
    Read More
  16. 새해 인사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6556
    Read More
  17. 새이방우, 새미골

    Date2008.07.05 By바람의종 Views6679
    Read More
  18. 새의 꼬리

    Date2010.02.07 By바람의종 Views8434
    Read More
  19. 새말의 정착

    Date2007.12.16 By바람의종 Views7373
    Read More
  2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Date2022.02.13 By風文 Views1235
    Read More
  21. 새말과 사전

    Date2007.10.31 By바람의종 Views6153
    Read More
  22. 새말 만들기

    Date2007.10.12 By바람의종 Views7780
    Read More
  2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Date2022.06.18 By風文 Views1135
    Read More
  24. 새라새롭다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9421
    Read More
  25.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Date2010.04.02 By바람의종 Views1134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