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31 15:11

흙성과 가린여흘

조회 수 1146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흙성과 가린여흘

땅이름

용비어천가는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새 글자의 실용 가능성을 실험함과 동시에 조선 왕조의 개국을 정당화하고자 정인지·최항 등에게 일러 편찬하도록 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조선 왕조를 열기까지의 6대조 역사가 기록됐는데, 그 가운데 땅이름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기사가 많이 남아 있다.

제9장은 “하늘의 뜻을 받들어 도적을 토벌하실새 사방의 제후들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오래되어 서방 오랑캐도 또 모이니, 의를 내세워 군사를 거느릴새 천리 인민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기프셔서 북쪽 오랑캐들이 또 모이니”라는 노래는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관련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위화도에서 돌아오는 군대가 지나간 땅이름이 나타나는데, 회군하는 군사들이 안주, 자주, 이성(흙성), 평양, 중화군, 기탄(가린여흘)에 이르기까지 백성들의 환영을 받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진군하였다고 한다. 이 기록에서 이성(泥城)은 ‘흙성’, 기탄(岐灘)은 ‘가린여흘’이라는 한글로 표기하였다. 이처럼 용비어천가 곳곳에는 토박이말과 한자어의 대응관계를 한글을 사용하여 나타낸 경우가 많다.

‘가린여흘’을 ‘기탄’으로 옮긴 것은 ‘가린’이 ‘가르다’에 해당하는 ‘가ㄹㆍ다’에서 비롯된 말이므로 둘 이상의 물줄기가 합쳐지는 곳임을 짐작게 한다. 이처럼 ‘가린’이 들어가는 땅이름은 ‘가늘다’는 뜻을 지닌 경우와 ‘가르다’의 뜻을 지닌 경우가 있다. ‘강’을 뜻하는 ‘가ㄹㆍㅁ’이 ‘가르다’와 관련이 있음은 널리 알려진 것과 같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42
3434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634
3433 우리말 속의 일본말 찌꺼기들 風磬 2006.09.07 16386
3432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852
3431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292
3430 요, 오 風磬 2006.09.09 20557
3429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404
342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481
3427 겻불 風磬 2006.09.14 16357
3426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437
3425 게거품 風磬 2006.09.14 19847
3424 고명딸 風磬 2006.09.16 15956
3423 고뿔 風磬 2006.09.16 15814
3422 고수레 風磬 2006.09.18 20914
3421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632
3420 곤죽 風磬 2006.09.29 12613
3419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798
34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382
3417 꼬투리 風磬 2006.10.10 13907
3416 나리 風磬 2006.10.10 17149
3415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2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