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9 12:44

장보고·논복

조회 수 875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보고·논복

사람이름

<삼국유사>에는 신라 때 아비 없이 아이를 낳은 홀어미 이야기가 있다. 경주 만선 뒷마을에 홀어미가 있었는데, 남편 없이 아이를 배었다. 태어나 열두 살이 되었는데도 말도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해 蛇童(사동)이라 불렀다. 달리 蛇卜/蛇伏(사복), 蛇巴(사파)로도 불렸다고 한다. 장보고의 이름은 본디 弓福(궁복) 또는 弓巴(궁파)였다. 경주에 ‘너보’라는 곳이 있는데, 仍甫(잉보)로 적으며 <세종실록 지리지>를 보면 옛날에는 仍巴(잉파)로 적었다고 한다. 고대에 巴(파)의 소릿값은 ‘보’로, 蛇童(사동)은 ‘ㅂ.얌복/ㅂ.얌보’, 장보고는 ‘활복/활보’였다. 요즘 울보와 ‘울배기’가 함께 쓰이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신라말에서 ‘복’ 또는 ‘보’는 아이(童)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복’(卜/福)은 조선 때도 이름접미사로 쓰였다. 복이·개복·귀복·귿복·금복·논복·늦복·니복·덕복·돌복·동복·막복·만복·박복·산복·쇠복·언복·엇복·년복·은복·이른복·잠복·진복 따위 사내이름과, 논복·늦복·덕복·도복·만복·알복·앙복·일복과 같은 계집이름이 있다. 사내·계집이름에 두루 쓰인 ‘애복이’는 ‘애보기’처럼도 느껴지니 애달프다.

고려 때 호적과 조선왕조실록에 巴只(파지)라는 말이 보이는데, ‘복이/보기’를 적는 것이다. <태종실록>에 앞 왕조(고려) 제도를 이어받아 잔심부름하는 사내아이를 보기(巴只), 안에서 소제하는 계집아이를 무수리(水賜伊)라 하는데, 이들이 드나들며 궁중 얘기를 바깥으로 퍼뜨리니 임금이 신경 쓰인다고 했다. 궁중말 ‘보기’는 신라말의 자취로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3
1698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765
1697 무료와 공짜 바람의종 2009.10.27 8766
1696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7
1695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7
1694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68
1693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71
1692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73
1691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777
1690 말 비틀기(2) 바람의종 2010.01.20 8778
1689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87
1688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789
1687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98
1686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799
1685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99
1684 저린다 바람의종 2010.10.30 8800
1683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00
1682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801
1681 보유고, 판매고, 수출고 바람의종 2010.10.14 8801
1680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802
1679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05
1678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06
1677 릉, 능 바람의종 2008.10.25 88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