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9 12:44

장보고·논복

조회 수 876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장보고·논복

사람이름

<삼국유사>에는 신라 때 아비 없이 아이를 낳은 홀어미 이야기가 있다. 경주 만선 뒷마을에 홀어미가 있었는데, 남편 없이 아이를 배었다. 태어나 열두 살이 되었는데도 말도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해 蛇童(사동)이라 불렀다. 달리 蛇卜/蛇伏(사복), 蛇巴(사파)로도 불렸다고 한다. 장보고의 이름은 본디 弓福(궁복) 또는 弓巴(궁파)였다. 경주에 ‘너보’라는 곳이 있는데, 仍甫(잉보)로 적으며 <세종실록 지리지>를 보면 옛날에는 仍巴(잉파)로 적었다고 한다. 고대에 巴(파)의 소릿값은 ‘보’로, 蛇童(사동)은 ‘ㅂ.얌복/ㅂ.얌보’, 장보고는 ‘활복/활보’였다. 요즘 울보와 ‘울배기’가 함께 쓰이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신라말에서 ‘복’ 또는 ‘보’는 아이(童)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복’(卜/福)은 조선 때도 이름접미사로 쓰였다. 복이·개복·귀복·귿복·금복·논복·늦복·니복·덕복·돌복·동복·막복·만복·박복·산복·쇠복·언복·엇복·년복·은복·이른복·잠복·진복 따위 사내이름과, 논복·늦복·덕복·도복·만복·알복·앙복·일복과 같은 계집이름이 있다. 사내·계집이름에 두루 쓰인 ‘애복이’는 ‘애보기’처럼도 느껴지니 애달프다.

고려 때 호적과 조선왕조실록에 巴只(파지)라는 말이 보이는데, ‘복이/보기’를 적는 것이다. <태종실록>에 앞 왕조(고려) 제도를 이어받아 잔심부름하는 사내아이를 보기(巴只), 안에서 소제하는 계집아이를 무수리(水賜伊)라 하는데, 이들이 드나들며 궁중 얘기를 바깥으로 퍼뜨리니 임금이 신경 쓰인다고 했다. 궁중말 ‘보기’는 신라말의 자취로 보인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15
277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5
2775 바람의종 2012.07.27 9279
27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277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805
2772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7103
2771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73
2770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2769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52
276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95
276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04
27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403
276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36
276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10
2763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96
2762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731
2761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5
2760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54
2759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225
275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900
2757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51
275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70
275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