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6

열 딸라

조회 수 816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열 딸라

북녘말

“열 딸라입니다!” 금강산 관광을 할 때 상점에서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을 남쪽 관광객이 들으면 금방 알아듣지 못한다. 미국 돈을 남녘에서는 ‘달러’로 적지만 일반적인 발음은 [딸러] 혹은 [딸라]로도 하기에 별 차이가 없는데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십 딸라입니다”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사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있는데, 그 쓰임에 구별이 있다. 고유어 앞에는 원칙적으로 고유어 수사만 쓰이고, 한자어 앞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모두 쓰인다. ‘고양이 4마리’를 ‘고양이 사 마리’로 읽지 않고, ‘네 마리’로 읽는다. 다만, 남쪽에서는 단위가 20이 넘는 수에서 한자어 수사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스무 마리’와 ‘이십 마리’가 같이 쓰인다.

한자어 앞에 쓰인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는 그 뜻이 구별된다. ‘책 5권’을 ‘책 다섯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수량’이 되고, ‘책 오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순서’가 된다. 한자어 단위명사 앞에서 구별해서 쓰는 것은 남북이 같다.

남북이 차이가 나는 것은 외래어 단위명사를 쓰는 상황이다. 이런 단위명사로는 ‘달러, 유로’와 같은 화폐 단위와 ‘미터, 센티미터’와 같은 서양의 단위가 있다. 남녘에서는 이런 단위명사 앞에서 주로 한자어 수사를 쓰는데, 북녘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마찬가지로 쓰고 있다. 그래서 ‘열 딸라’와 ‘십 달러’의 차이가 있다. 북녘에서 ‘10m’를 ‘십 미터’로 읽는지, ‘열 미터’로 읽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화폐 단위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85
2402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92
2401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2
2400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99
2399 바람의종 2008.08.21 7299
2398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6
2397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07
2396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7
2395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308
2394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09
2393 비지땀 風磬 2006.12.23 7312
2392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17
2391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18
2390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2389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25
2388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28
2387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32
2386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33
2385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334
2384 바캉스 바람의종 2008.02.12 7334
23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6
2382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37
2381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