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6

열 딸라

조회 수 820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열 딸라

북녘말

“열 딸라입니다!” 금강산 관광을 할 때 상점에서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을 남쪽 관광객이 들으면 금방 알아듣지 못한다. 미국 돈을 남녘에서는 ‘달러’로 적지만 일반적인 발음은 [딸러] 혹은 [딸라]로도 하기에 별 차이가 없는데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십 딸라입니다”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사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있는데, 그 쓰임에 구별이 있다. 고유어 앞에는 원칙적으로 고유어 수사만 쓰이고, 한자어 앞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모두 쓰인다. ‘고양이 4마리’를 ‘고양이 사 마리’로 읽지 않고, ‘네 마리’로 읽는다. 다만, 남쪽에서는 단위가 20이 넘는 수에서 한자어 수사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스무 마리’와 ‘이십 마리’가 같이 쓰인다.

한자어 앞에 쓰인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는 그 뜻이 구별된다. ‘책 5권’을 ‘책 다섯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수량’이 되고, ‘책 오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순서’가 된다. 한자어 단위명사 앞에서 구별해서 쓰는 것은 남북이 같다.

남북이 차이가 나는 것은 외래어 단위명사를 쓰는 상황이다. 이런 단위명사로는 ‘달러, 유로’와 같은 화폐 단위와 ‘미터, 센티미터’와 같은 서양의 단위가 있다. 남녘에서는 이런 단위명사 앞에서 주로 한자어 수사를 쓰는데, 북녘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마찬가지로 쓰고 있다. 그래서 ‘열 딸라’와 ‘십 달러’의 차이가 있다. 북녘에서 ‘10m’를 ‘십 미터’로 읽는지, ‘열 미터’로 읽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화폐 단위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96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429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6014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72
»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201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79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58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649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69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57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54
3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67
345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83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94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82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400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39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703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96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6051
337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834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65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5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