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4

차별1

조회 수 7153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별1

언어예절

말을 들어 보아 사람됨을 짐작한다. 헤아리고 분별하는 단계다. 분별하는 마음이 말이나 행동으로 드러나면서 차별로 이어진다. 말하는 이의 분별·차별 의식이 듣는 이에게 가닿고 반응하는 까닭이다. 문제는 여기부터다. 두드러진 차별은 제도와 관습으로 이어진다. 제도·관습은 일종의 공인된 차별인 셈이고, 이는 강고하여 쉽게 허물어지지 않는다. 소집단이나 개인 사이 거래는 달리 손대기가 어렵다. 예절은 어지러운 사회에서 다름과 같음을 헤아리고, 같이 대우하고 달리 대우하기를 적절히 하는 데서 나온다.

말로 비롯된 두드러진 차별 사례를 든다면?

우선 사투리에 따른 차별이 있다. 사람·지역마다 말씨가 조금씩 다른 까닭이다. 헤아림 폭이 얕은 사람일수록 자신과 다른 것에 민감하다. 흔히 인종 차별을 들추지만 생김새보다 낯선 말이 더 거리를 두게 한다.

말 차이로 생기는 계층·계급이 무섭다. 전날의 문자(한문) 차별, 요즘의 외국어(영어) 차별이 심각한 사례다. 이는 진학과 취업에 큰 영향을 줄 만큼 공공연하다. 필요악이지만 거품이 너무 많이 끼었다. 결혼 이민이나 이주 노동자는 언어 불통으로 겪는 어려움이 크다. 아이·어른, 직업·직종, 세대·성별 따라 쓰는 말이 달라서 오는 차별도 있다. 전자말을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도 갈린다. 남북은 언어규범에 따른 차이·차별이 심각하다. 온갖 집단의 따돌림은 차별의 두드러진 보기다.

이처럼 말글 차이는 나라와 말겨레를 나누기도 하고, 계층·계급을 나누기도 하며, 개인 사이도 버르집게 한다. 이런 차별과 차이를 녹여내는 것은 서로 다름을 헤아리고 존중하는 공부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93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353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09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55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460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315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83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19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348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1058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52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10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77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93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37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937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287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61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4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915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96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35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9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