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4 01:56

소행·애무

조회 수 888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행·애무

북녘말

남북이 같은 말을 비슷한 뜻으로 쓰고 있지만, 그 느낌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는 말이 있다. 이런 말은 대화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한다. 생소한 말을 듣게 된다면 그 뜻을 문맥에서 짐작하거나 뜻을 물어보아 확인할 수 있지만, 말에서 풍기는 느낌에 차이가 있다면 묻기도 곤란하고, 불필요한 오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북녘말 ‘소행’과 ‘애무’에 그런 차이가 있다.

“전날에, 렬녀의 소행을 찬양하고 기념하기 위하여 세우는 붉은 문.”(조선말대사전)
“백락신이란 자의 소행을 보면 전수이 날도독놈의짓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계명산천은 밝아오느냐 1)

남녘에서는 소행(所行)을 부정적인 일에 쓰기 때문에 ‘열녀의 소행’을 기념하기보다는 ‘열녀의 행적’을 기념하여 열녀문을 세운다. 북녘에서는 ‘소행’을 긍정적인 일, 부정적인 일에 두루 쓰기 때문에 ‘어여쁜 소행, 아름다운 소행, 기특한 소행’이 가능하다. 남녘에서 이런 표현을 쓴다면 비꼬는 뜻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수이’는 ‘전적으로’의 뜻이다.

“황소는 광섭의 지극한 애무에 반겨 어쩌지 못하듯 꼬리를 휘두르고 영각을 치기도 하였다.”(조선말대사전)
“지쳤던 아이는 어머니의 다정한 애무에 그만 솔곤히 잠이 들었다.”(조선말대사전)

남녘에서 ‘애무’는 주로 ‘이성간의 사랑 표현’으로 쓰이지만, 북녘에서는 글자뜻 그래로 ‘쓰다듬다, 어루만지다’처럼 포괄적으로 쓰인다. 단순히 ‘사랑하고 귀여워하며 어루만지는 것’이어서 황소를 애무하기도, 어머니가 아이를 애무하기도 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72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22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08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46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73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9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96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07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3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7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5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26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99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59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34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46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0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18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69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07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53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