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4 01:54

에두르기

조회 수 7008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두르기

언어예절

돌려 말하거나 날을 누그러뜨려 하는 말법들(완곡어법·헤지)을 ‘에두르기’라 싸잡는다. 이는 껄끄런 말을 부드럽게, 아닌 걸 긴 것처럼 베풀거나 말꼬리를 흐리는 등으로 그 얼안이 넓어진다. 말글로 먹고 사는 이, 판단·분석·주장을 전문으로 하는 법조인·학자·정치인 두루 그 애호가들이다.

선거 유세 쪽은 에두르기가 좀 덜하다. “여러분께서 저를 ○○○으로 뽑아주신다면 …/ 제가 된다면 …”을 깔고 있으니 굳이 에둘러 말할 게 없다. 거짓일지언정 믿음과 확신을 주자면 에두를 짬이 없는 까닭이다.

에두르기에 종사하는 말과 말투는 갖가지다. 입음꼴, 인용, 겹부정, 갖은 비유, 도움토들이 대표선수다. 딱히 한정하기는 어려우나 두드러진 표지들을 들추면 “-적(的), -성(性), 보여진다, 여겨진다, 생각된다, 생각에 따라서는, 하나의, 일종의, -ㄹ 수, -겠-, 이른바, 가능성, 어쩌면, -ㄹ 것이다, -고 하겠다, 아마도, 거의, 주로, 크게, 비교적, 그리, 다소, 적잖다, 지나치지 않다, 무시할 수 없어 보인다, 곤란하다, 무리가 있다, 필요성이 제기된다, 필요로 한다, 우려가 있다, 하고도 남는다, 알려져 있다, 판단되어진다, 듯하다, 성싶다 ….” 재미있는 것은 외래말투가 많다는 점이다.

에두르기는 잘만 쓰면 상대에게 겸손·공손·헤아림으로 다가가는 방편이 된다. 문제는 버릇으로 막 쓴다는 현실이고, 비겁·부정직·무책임을 드러내는 말투로 떨어질 위험이 높으며, 결국 꼬리가 몸통을 흔들어 군말이나 다리아랫소리가 되게 한다는 점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75
110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11
1103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63
110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04
1101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46
1100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46
109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2
109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1
10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81
10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2
1095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15
1094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396
1093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07
1092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1
109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5
1090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68
108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108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51
1087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08
108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398
10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9
1084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1083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