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4

수자리와 정지

조회 수 811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자리와 정지

땅이름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에정지’는 양주동의 <여요전주> 이후로 경상 방언 ‘부억’을 뜻한다고 푼다. 부엌에 해당하는 ‘정지’가 있다고 해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정지 가다가 드로라”를 ‘부엌에 가다가 듣는다’로 푸는 건 부자연스럽다.

땅이름에는 정자·군막 같은 인조물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넓은 들이나 수려한 경관을 배경으로 정자를 짓고 나그네들의 쉼터로 이용하거나 은둔의 근거지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가 있던 마을에는 으레 ‘정자골’이 생겨난다. ‘정’(亭)은 또한 역참·군막을 일컫기도 했으니 ‘수자리’와도 관련이 깊다. 신라 때 군사 제도인 ‘9정’ 역시 수자리와 관련을 맺는다. ‘수자리’의 수는 ‘지킬 수’[守]와 음이 같고, 이는 ‘술·숯’과 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수자리’ 대신 ‘술골·숯골’이 생겨나며, 이런 땅이름은 ‘술 주’[酒], ‘숯 탄’[炭]을 가져다 ‘주곡·주동·탄곡·탄동’으로 바꾼다. 이쯤 되면 ‘수자리’의 본뜻은 사라지고 술이나 숯과 관련된 땅이름처럼 여겨진다.

‘에정지’는 ‘어정지’(於亭地)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고시조에서 한자어 ‘어혈지다’를 ‘에혈지다’로 표기한 사례가 있듯, 어조사 ‘어’(於)를 ‘에’로 발음하는 것은 흔하며, ‘정지’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청산별곡>은 ‘사슴탈을 쓴 배우가 장대에 올라 해금 켜는 것을 듣는 장면’을 그렸으므로, 굳이 부엌에 가다가 들었다기보다 ‘정지’에 가다가 들었다는 뜻으로 푸는 게 자연스럽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667
2006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56
2005 왔수다! 바람의종 2009.03.03 5801
2004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6
2003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31
2002 싹쓸바람 바람의종 2009.03.03 6988
2001 울돌목 / 노들강변 바람의종 2009.03.03 6672
2000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832
1999 두루미 바람의종 2009.03.04 6461
1998 방짜 유기 바람의종 2009.03.04 8281
1997 눈살, 등쌀 바람의종 2009.03.04 7513
1996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53
199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72
1994 성과 이름 바람의종 2009.03.08 7525
1993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75
1992 일사불란 / 사달 / 사단 바람의종 2009.03.08 11783
1991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719
1990 올갱이, 다슬기 바람의종 2009.03.14 11180
1989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53
1988 납량 바람의종 2009.03.14 6871
1987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692
1986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808
1985 독립과 해방 바람의종 2009.03.16 6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