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4

수자리와 정지

조회 수 804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자리와 정지

땅이름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에정지’는 양주동의 <여요전주> 이후로 경상 방언 ‘부억’을 뜻한다고 푼다. 부엌에 해당하는 ‘정지’가 있다고 해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정지 가다가 드로라”를 ‘부엌에 가다가 듣는다’로 푸는 건 부자연스럽다.

땅이름에는 정자·군막 같은 인조물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넓은 들이나 수려한 경관을 배경으로 정자를 짓고 나그네들의 쉼터로 이용하거나 은둔의 근거지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가 있던 마을에는 으레 ‘정자골’이 생겨난다. ‘정’(亭)은 또한 역참·군막을 일컫기도 했으니 ‘수자리’와도 관련이 깊다. 신라 때 군사 제도인 ‘9정’ 역시 수자리와 관련을 맺는다. ‘수자리’의 수는 ‘지킬 수’[守]와 음이 같고, 이는 ‘술·숯’과 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수자리’ 대신 ‘술골·숯골’이 생겨나며, 이런 땅이름은 ‘술 주’[酒], ‘숯 탄’[炭]을 가져다 ‘주곡·주동·탄곡·탄동’으로 바꾼다. 이쯤 되면 ‘수자리’의 본뜻은 사라지고 술이나 숯과 관련된 땅이름처럼 여겨진다.

‘에정지’는 ‘어정지’(於亭地)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고시조에서 한자어 ‘어혈지다’를 ‘에혈지다’로 표기한 사례가 있듯, 어조사 ‘어’(於)를 ‘에’로 발음하는 것은 흔하며, ‘정지’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청산별곡>은 ‘사슴탈을 쓴 배우가 장대에 올라 해금 켜는 것을 듣는 장면’을 그렸으므로, 굳이 부엌에 가다가 들었다기보다 ‘정지’에 가다가 들었다는 뜻으로 푸는 게 자연스럽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67
3106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64
3105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70
3104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72
3103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76
3102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77
3101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480
3100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482
3099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486
3098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89
3097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94
3096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497
3095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498
3094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501
3093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507
3092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507
3091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511
309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511
3089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12
3088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516
3087 갑질 風文 2024.03.27 1518
3086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520
3085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