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1

짚신나물

조회 수 700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짚신나물

풀꽃이름

얼마 전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짚신 사진을 소개했다. 1586년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아이밴 과부가 자기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신발을 편지와 함께 남편 무덤에 묻었는데, 1998년 택지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것을 소개한 기사다. 쉽게 마음을 바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보여준 영원한 사랑의 진실이다.

풀꽃이름 중에 ‘짚신나물’이 있다. 꽃받침에 있는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물체에 잘 들러붙어서 생긴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사람 다니는 길가나 풀숲 쪽으로 많이 난다고 한다. 곧 짚신이나 버선에 잘 달라붙고, 어린 순을 익혀 무쳐 먹기에 ‘나물’이 붙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넓적한 잎 모양도 짚신과 닮았다. 또한 사람과 짐승에 붙어서 번식하는 것도 특별하다. 꽃말이 ‘임 따라 천릿길’이라니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같은 모양이지만 볏짚으로 삼은 신발은 ‘짚신’이고, 삼·모시 등으로 삼은 신발은 ‘미투리’라고 하니까, ‘원이 엄마의 미투리’가 정확한 표현이다. 큰 은혜(사랑)를 갚는 데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아 바친다’는 옛말의 정확한 물증을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89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14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45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44
35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18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094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91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430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12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89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08
346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60
»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00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27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25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42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87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20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02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47
337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70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18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