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1

짚신나물

조회 수 706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짚신나물

풀꽃이름

얼마 전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짚신 사진을 소개했다. 1586년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아이밴 과부가 자기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신발을 편지와 함께 남편 무덤에 묻었는데, 1998년 택지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것을 소개한 기사다. 쉽게 마음을 바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보여준 영원한 사랑의 진실이다.

풀꽃이름 중에 ‘짚신나물’이 있다. 꽃받침에 있는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물체에 잘 들러붙어서 생긴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사람 다니는 길가나 풀숲 쪽으로 많이 난다고 한다. 곧 짚신이나 버선에 잘 달라붙고, 어린 순을 익혀 무쳐 먹기에 ‘나물’이 붙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넓적한 잎 모양도 짚신과 닮았다. 또한 사람과 짐승에 붙어서 번식하는 것도 특별하다. 꽃말이 ‘임 따라 천릿길’이라니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같은 모양이지만 볏짚으로 삼은 신발은 ‘짚신’이고, 삼·모시 등으로 삼은 신발은 ‘미투리’라고 하니까, ‘원이 엄마의 미투리’가 정확한 표현이다. 큰 은혜(사랑)를 갚는 데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아 바친다’는 옛말의 정확한 물증을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13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33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95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102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2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7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54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5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22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36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3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56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253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11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98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60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64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79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803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6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15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98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