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1

짚신나물

조회 수 706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짚신나물

풀꽃이름

얼마 전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원이 엄마’의 한글 편지와 짚신 사진을 소개했다. 1586년 지금의 안동 지역에 살던 아이밴 과부가 자기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신발을 편지와 함께 남편 무덤에 묻었는데, 1998년 택지를 개발하면서 발견된 것을 소개한 기사다. 쉽게 마음을 바꾸는 요즘 사람들에게 보여준 영원한 사랑의 진실이다.

풀꽃이름 중에 ‘짚신나물’이 있다. 꽃받침에 있는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물체에 잘 들러붙어서 생긴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사람 다니는 길가나 풀숲 쪽으로 많이 난다고 한다. 곧 짚신이나 버선에 잘 달라붙고, 어린 순을 익혀 무쳐 먹기에 ‘나물’이 붙었다. 보기에 따라서는 넓적한 잎 모양도 짚신과 닮았다. 또한 사람과 짐승에 붙어서 번식하는 것도 특별하다. 꽃말이 ‘임 따라 천릿길’이라니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같은 모양이지만 볏짚으로 삼은 신발은 ‘짚신’이고, 삼·모시 등으로 삼은 신발은 ‘미투리’라고 하니까, ‘원이 엄마의 미투리’가 정확한 표현이다. 큰 은혜(사랑)를 갚는 데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아 바친다’는 옛말의 정확한 물증을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28
3106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34
3105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734
3104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737
3103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737
3102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9
3101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741
3100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42
3099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46
3098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748
3097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748
3096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758
3095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74
3094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76
3093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776
3092 존맛 風文 2023.06.28 1776
3091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780
3090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83
3089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786
3088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802
3087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806
3086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807
3085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8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